쓰려면 피로 써라!
니체가 던진 유명한 말이다. 피로 쓴다는 것은 어떻게 쓰는 것일까? 우리는 잉크가 담긴 펜으로 쓰고, 손가락으로 자판을 두드리며 쓴다. 잉크 대신 피를 찍어 쓴다는 이미지가 풍기기도 한다. 대개 피는 생명을 의미한다. 일부 독자들은 피땀을 쏟는 열정 혹은 치열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받아들인다. 그럼 니체가 단지 글쓰기의 열정을 표현하기 위해 '피'라는 메타포를 사용했을까?
수유너머의 니체 연구자와 '피로 쓴다'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대화했다. 우리 두 사람은 니체가 '피'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삶의 체험'이라고 해석했다. '차라투스트라'의 강조점은 언제는 천상에서 땅으로, 피안의 세계에서 대지로, 관념에서 몸으로, 형이상학에서 삶과 체험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피로 쓴다'는 것은 자신의 몸으로 직접 체험하고 직접 사유하고 깨달은 것을 쓰는 뜻으로 보았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제1부 '읽기와 쓰기에 대하여'에 담긴 원문은 다음과 같다.
"일체의 글 가운데서 나는 피로 쓴 것만을 사랑한다. 쓰려면 피로 써라. 그러면 너는 피가 곧 넋임을 알게 될 것이다. 다른 사람의 피를 이해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게으름을 피워가며 책을 뒤적거리는 자들을 미워한다."
자신의 체험과 삶을 그대로 담을 글이 곧 피로 쓴 글이다. 우리는 글을 잘 쓰려고 하고, 꾸미려 하며, 온갖 정보와 자료를 취합해 인용하고 편집하는 데 익숙하다. 글작업에 그러한 일이 필요하기도 하다. 하지만 니체의 말은 우리의 쓰기 방식에 일격을 가한다. 자신의 끈끈한 체험이 담긴 붉은 피의 잉크로 쓴 글이야말로 진정한 글이다.
피로 쓴 시를 읽었다.
희망과 야합한 적 없었다 결단코
늘 한발 앞서 오던 체념만이 오랜 밥이고 약이었음을
고백한다 밤낮 부레끓는 숨과 다투던 폐암 말기의 어머니
착같이 달아 펄떡이던 몸뚱이를
일찍이 반지하 시린 윗목에 안장한 일에 대하여
마지막 구원의 싸이렌마저 함부로 외면할 수 있었던 조숙한 나약함에 대하여
방 한 귀퉁이 중고 산소호흡기를 들여놓고
새벽마다 동네 장의사 명함만 만지작거렸다
그 어떤 신념보다 더욱 견고한 체념으로, 어김없이 날은 밝아
먼 산 기울어진 해도 저토록 가쁘게
가쁘게 도시의 관짝을 여밀 수 있음을 알았다 습관처럼
사랑을 구하던 애인이 어느 막다른 골목에서 뒷걸음질쳐 갈 때도
시험에 낙방하고 아무 일자리나 찾아 낯선 가게들을 전전할 때도
오로지 체념, 체념만을 택하였다 체념은 나의 신앙
그 앞에 무릎 꿇고 자주 빌었으며 순실히 경배하였다
체념하며 산 것이 아니라 체념하기 위해 살았다 어쩌면
이제 와 더 깊이 체념한다 한들 제 발 살 려 다 오
[후략]
출처 : 심장에 가까운 말(박소란 시집), 창비
박소란의 시 '체념을 위하여'의 앞부분이다. 그의 시들을 읽으며 아팠다. 시집을 손에서 놓을 수 없었다. 시적 화자는 불행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이자 '나'이기도 해서 더 깊이 공감했다. 특히 '체념을 위하여'는 체념 경험을 진술하고 고통을 노래하는 쓴 맛 나는 절망의 찬가로 느껴졌다. '사회적 약자와 시대적 아픔을 개성적 언어로 끌어안았다'는 문단의 좋은 평가보다 독자들의 심장이 더 우렁차게 공명하였으리라. 체념이 굳센 신념이 되어 버린 우리들의 자화상을 그대로 담아 생생하고 절묘하게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소란의 시들에는 생생한 언어와 현장감이 느껴진다. 전체 이미지가 매우 현실감이 있고, 실재 경험으로 읽혀진다. 읽는 내내 시인과 시적 화자가 거의 구분되지 않는 듯 느껴졌다. 시 속의 화자는 불행과 상처에 매우 익숙해져 있다. 꾸민 고통이 아니라 경험한 불행으로 여겨진다. 여느 시들이나 작품들에서 흔히 읽을 수 있는 과장된 아픔이나 미화되고 조작된 고통과는 전혀 맛이 다르다. 우리들 내면에서 침묵하고 있는 침묵의 체념을 그대로 드러내는 시적 화자의 비명에서 우리는 숭고한 '피'를 맛본다.
글을 쓰다가 울었다. 작년 12월 어느 날, 동네 카페에서. 글을 쓰다가 순간 눈물이 울컥거리는 것을 감지하고는 머뭇거렸지만 쏟아져 내리는 눈물을 멈출 수가 없었다. 나는 두 손으로 눈을 감싸고 오래 흐느꼈다. 나의 서사를 쓰는 중이었다. 아, 그 때 나는 정말 힘겨웠구나, 아팠구나, 두려웠구나, 외로웠구나, 슬펐구나! 눈물을 흘린 후 나는 맑아졌다. 이후 며칠 내내 나 자신에 대해 사유했다. 나를 공부했다.
"인간이 배우기 가장 어려운 것은…바로 타인의 슬픔이다."
평론가 신형철이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에서 말한 대목이다. 그 이유는 우리가 '타인의 몸속에서 뛸 수도 없고 타인의 슬픔 때문에 멈추지도 않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오늘도 당신의 슬픔을 공부한다. 그래서 슬픔에 대한 공부는, 슬픈 공부다."
나는 나의 슬픔을 공부한다. 그리 슬프지도 아프지도 않다. 타인의 슬픔에 대해 냉정하리만큼 무감각하면서 오히려 드라마를 보면서 울기를 잘 하는 우리, 정반대로 타인의 슬픔과 비극을 목격하면서 분노하며 복수의 기획을 하기도 하는 우리, 과연 자신의 슬픔의 깊은 곳에 닿아 본 적이 있을까? 나는 나의 슬픔을 공부하고 있다. 때늦은 공부이다. 타인의 슬픔이 더 잘 보인다.
피로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삶을 쓰는 것이다. 자신의 삶을 살아낸다는 것은 자기 삶의 서사를 쓰는 일이기도 하다. 피로 쓴 글, 작품, 말은 체험적이며 간증적이며 고백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글쓰기는 삶쓰기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