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와 애플 품은 삼성반도체...美 생산확대로 '관세리스크' 돌파?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7 11:36:03
  • -
  • +
  • 인쇄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사진=삼성전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품목관세를 100%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 공장에서 생산한 반도체를 테슬라에 이어 애플에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관세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집적회로(chips)와 반도체(semiconductors)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한다면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달러(약 14조7000억원)으로, 주로 부가가치 높은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출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트럼프 보편관세의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품목관세가 20%이면 대미 수출이 최대 약 8.3%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데 이보다 5배 높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므로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트럼프의 이같은 발언은 반도체 업체들의 미국 투자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강하다. 트럼프의 특성이 숫자로 강하게 압박한 다음에 협상을 통해 투자를 이끌어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기 때문에 무턱대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한국산 메모리 반도체는 미국의 수많은 기업에게 공급되고 있어, 만약 100% 관세를 부과했을 경우에 미국산 완제품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들이 고려될 것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는 이미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장을 가동하고 있고,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HBM 생산공장을 2028년 가동을 목표로 짓고 있다. 

이 텍사스 공장에서 생산한 반도체는 테슬라와 애플에 공급될 예정이다. 지난달 28일 삼성전자는 테슬라와 22조7000억원에 달하는 반도체 파운드리 계약을 체결한데 이어, 애플과 파운드리 계약을 체결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날 애플은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 오스틴에 있는 삼성 반도체 공장에서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용되는 혁신적인 새로운 칩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아이폰을 포함한 애플 제품의 전력 효율성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칩을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애플에 이미지센서(CIS)를 공급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CIS는 스마트폰 카메라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으로, 삼성전자는 자사 이미지센서 브랜드 '아이소셀'을 갤럭시 스마트폰을 비롯해 중국 샤오미, 비보와 모토로라 등에 공급 중이다.

애플은 그동안 일본 소니에서 CIS를 공급받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반도체 생산을 강조하면서 미국내 공장을 보유한 삼성전자와 계약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팀 쿡 애플 CEO는 이날 백악관에서 향후 4년간 미국에 6000억달러(약 831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미국의 품목관세 100% 예고에도 불구하고 전일보다 올라 '7만전자'를 회복하는 모습이다.

▲대미 반도체 수출액 연도별 추이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매출 9.5조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사고많은 건설업계 '초비상'

연매출 약 9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내 건설업계 7위인 포스코이앤씨가 창사 43년만에 절체절명의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반복적으로 중대재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기후/환경

+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호주 2300km 산호군락지 '하얗게 변색'...해양폭염으로 역대급 피해

올초부터 이어진 해양폭염으로 호주 전역의 산호초가 백화현상을 겪고 있는 가운데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는 관측 이래 가장 심각한 산호 감소가 확

"탄소 저장해드립니다"…노르웨이 'CCS' 사업에 33억불 투자

북유럽 국가 노르웨이가 최근 북해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영구 저장하는 '노던라이츠(Northern Lights)' 사업에 33억달러(약 4조5800억원)를 투입했다. 석유개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