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고는 사회(S) 및 거버넌스(G) 부분에서 큰 감점요인이 된다.
한국ESG평가원은 7일 'ESG 컨트러버시 리포트'(Controversy Report)를 내고 최근 잇단 인명피해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의 사고에 대해 "ESG 사회부문 평가항목 중 안전보건 확립, 재해발생 감축, 근로자 고충처리시스템 구축, 관계사와의 공정거래 등의 측면에서 매우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거버넌스 측면에서도 리스크 관리항목에 감점요인이라고 덧붙였다.
평가원은 "포스코이앤씨는 브랜드가치 하락 및 수주경쟁력 약화, 사고 관련 재시공 비용, 지체보상금 비용, 공기단축 비용 등으로 재무적 및 비재무적 손실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는 상장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재무 및 브랜드가치, ESG 상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자회사의 리스크관리 및 산업안전 측면에서 포스코홀딩스는 거버넌스(G) 및 사회(S) 부문 평가에서 큰 감점 위험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그룹 차원의 체계적 대응과 재발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평가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포스코홀딩스의 ESG 종합등급은 A로 우수한 수준이다. 환경(E)은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철강업종의 태생적 한계로 C+등급이나, 사회(S) 및 거버넌스(G) 등급이 모두 A+이고 특히 거버넌스 평가는 업종내 1위의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S분야에서 한등급 이상 하락할 가능성이 크고, G등급도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ESG평가원 허창협 평가위원은 "비상장 자회사의 문제이지만, 상장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S 및 G부문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무엇보다도 인명사고가 지속적으로 재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포스코이앤씨와 포스코홀딩스는 안전 관련 문제의 해결이 기업의 지속가능성 이슈 중 가장 중대하고 시급한 주제임을 인정하고 대응책을 신속하게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포스코이앤씨 공사 현장에선 올해 들어서만 5건의 산재사고로 4명이 숨지고 1명이 의식불명 상태가 되는 등 인명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1월 김해 아파트 신축현장 추락사고, 4월 광명 신안산선 건설현장 붕괴사고, 4월 대구 주상복합 추락사고, 지난달 의령 고속국도공사 사고가 잇달았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아니냐"며 포스코이앤씨를 질타했다. 같은 날 오후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전 사장은 사과문을 발표한 뒤 전국 현장 작업을 전면 중단했다.
그러나 포스코이앤씨는 안전점검을 마치고 일부 공사를 재개한 첫날인 지난 4일 또 다시 인명사고를 냈다.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공사 현장에서 미얀마 국적의 30대 이주노동자가 감전사고를 당해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것이다. 이에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은 지난 5일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며 사의했다.
여름 휴가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의 면허 취소나 공공입찰 금지 등 처벌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