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빙붕 '임계점' 넘었다..."녹는 속도 3배 빨라져"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4 14:21:39
  • -
  • +
  • 인쇄

남극 서부 빙붕이 녹는 속도가 '임계점'을 넘어 아무리 탄소배출량을 줄이더라도 남은 세기동안 상당부분이 녹는 것을 피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최근 영국 남극연구소(British Antarctic Survey, BAS) 소속 과학자들이 발표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세계가 지구온난화를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5℃ 이하로 유지하는 것에 성공한다 해도 아문센해에 있는 빙붕이 녹는 속도는 지난 세기에 비해 금세기에 3배 더 빨라질 전망이다.

BAS 연구진들은 이를 입증하기 위해 아문센해에 설치된 고해상도 컴퓨터 모델을 사용해 현재까지 지구온난화가 이 지역에 미친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화석연료 감축속도 여부와 관계없이 21세기 내에 빙붕의 상당수가 녹는 것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이 빙붕들은 약 수세기동안 천천히 녹을 것으로 예측됐지만 이번 연구에 따르면 향후 수십년동안 빠르게 녹아내릴 것"이라며 "극심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일부 해안도시를 버려야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실제 과학계에서는 남극 서부의 빙상이 완전히 사라지면 해수면이 5m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 이 경우 뉴욕과 붐바이, 상하이 등 수백만명이 거주하는 해안도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전세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해안에서 100km 살고 있어, 해수면이 상승할 경우 이들은 바닷물이 미치지 않는 내륙으로 이주해야 한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BAS의 케이틀린 나우텐(Kaitlin Naughten) 박사는 "우리는 이미 전세계적인 난민 위기를 겪고 있고 해수면 상승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며 "해안도시를 떠나온 수백만명에서 10억명 이상의 난민들을 어떻게 수용할 수 있냐"고 말했다

연구진들은 "기후위기로 인해 빙상과 빙하가 녹고 바닷물이 열팽창하면서 해수면이 점점 상승하고 있다"며 "기후변화로 인해 기존의 데이터 기반 예측으로는 이같은 현상을 정확히 예측하기 여렵다"고 말했다. 또한 연구진들은 "따라서 정부나 지자체 또한 해수면 상승을 대응하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 매우 어려워질 것이다"며 "새롭게 얼음이나 빙하가 녹으면 이를 빠르게 데이터화 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나우텐 박사는 "우리는 21세기에서 남극 빙붕이 녹는 것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을 수 있다"며 "이는 일부 해안지역 사회가 밀려오는 바닷물을 막는 해법을 찾거나 도시를 버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상황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위험한 것은 맞지만, 해수면 상승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 기후행동을 포기하는 이유는 될 수 없다"며 "우리의 행동이 22세기 이후에 남극의 얼음이 녹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기후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의 타이무어 소하일(Taimoor Sohail) 박사는 "서부 남극 빙상의 붕괴는 걱정스러운 기후 반환점이다"며 "빙붕의 용융이 가속화돼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은 끔직하다"고 말했다.

영국 국립해양학센터(UK National Oceanography Centre)의 티아고 세가비나치 도토(Tiago Segabinazzi Dotto) 박사는 "우리는 서부 남극 빙상의 불안정성을 피할 수 없는 임계점을 통과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해당지역 빙하 붕괴의 속도는 아직 불확실하며 특정 빙붕의 경우 수세기 동한 무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연구는 단일 모델에 기반한 것이므로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며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의 세부사항은 이전 연구와 상당수 일치하기 때문에 정책 입안자들이 이 연구를 고려할 필요는 있다"고 밝혔다.

알베르토 나베이라 가라바토(Alberto Naveira Garabato)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교(University of Southampton) 교수는 "이번 연구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며 "과거의 무대책에서 교훈을 얻고 지금부터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시작한다면 남극 동부에 10배 규모로 위치한 빙상들은 구할 수 있다"고 촉구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