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해빙 녹아...남극 물범 절반 이상 줄었다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9 11:49:46
  • -
  • +
  • 인쇄

지구온난화로 남극 해빙이 녹으면서 남극 물범 개체수가 50년 전에 비해 절반 이상 감소했다.

영국 남극 조사국(BAS)은 18일(현지시간) 1970년대부터 남극 남부의 물개 개체수를 모니터링한 결과, 웨델물범의 개체 수는 1977년 이후 54% 감소했고, 남극물범은 47% 감소했다고 밝혔다.

남극 물범은 해빙과의 관계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웨델물범 같은 경우, 대부분 생활환경을 해빙에 의존하고 해빙 환경에 작은 변화에도 민감한 '얼음 의존적(ice-obligate)' 물범이다. 남극물범과 남방코끼리물범은 해빙 위나 근처에서 서식하지만 육지에서 번식하기 때문에 얼음이 없는 지역도 필요한 '얼음 내성(ice-tolerant)' 물범이다.

웨델물범은 봄과 여름에도 얼음이 유지되는 해빙 위에서 목격되고, 남극물범과 남방코끼리물범은 동해안과 남해안의 저지대 해변이나 인접한 곳에서 발견된다.
 
웨델물범의 경우 해빙 감소로 휴식과 번식을 위한 서식지가 줄어들어 개체수가 54%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극물범과 남방코끼리물범의 경우 해빙이 줄어들고 빙하가 후퇴하면서, 털갈이와 번식이 가능한 지역이 높아졌다. 그러나 세 물범 모두 지구 온난화로 크릴새우 같은 먹이가 줄어들어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수가 47% 감소한 남극물범과 비슷한 환경에서 사는 남방코끼리물범은 비슷한 개체수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상당한 감소세를 보이지 않았다.

남극 해빙 면적은 올 2월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2월 13일까지의 5일 동안 북극과 남극의 해빙 총 면적은 1576만㎢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2023년 1~2월 기록된 종전 최저치인 1593만㎢를 경신한 수치다.

남극 해빙은 북극과 달리 대륙이 아닌 바다에 둘러싸여 있어 상대적으로 얇고 이동성이 크며, 바람에 의해 쉽게 분열될 수 있다. 따뜻한 공기와 해수 온도의 상승이 이번 해빙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남극 대륙에서 바다로 흘러내리는 빙붕이 높은 기온에 의해 녹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

남극 먹이사슬 가장 밑에 있는 크릴새우는 빙붕 아래 모여 서식한다. 따라서 해빙 감소는 크릴 서식지를 위협해 크릴을 주된 먹이로 삼는 남극 동물들의 개체수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남극에 서식하는 펭귄, 범고래, 물개, 바닷새 등 대부분 남극크릴을 주식으로 삼는다. 이들은 매년 약 8천만 톤의 크릴을 소비한다.

연구를 진행한 마이클 던은 "장기 데이터를 통해 해빙 환경 변화가 물범에 미치는 영향을 분명하게 밝혀냈다"며 "기후변화가 남극 동물이 의존하는 먹이사슬을 위협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변화 생물학 저널(Global Change Biology) 6월 18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기내식 용기 '식물성 소재'로 바꾼다

대한항공이 식물성 원료로 만든 기내식 용기를 도입한다.대한항공은 오는 12월부터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비목재 식물성 원료로 제작된 기내식 용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기후/환경

+

"초미세먼지 줄여라"…정부,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에 출력제한 조치

온화한 날씨로 인해 올겨울 초미세먼지(PM2.5)가 지난해보다 더 짙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석탄발전소 최대 17기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한전이 재생에너지 확대 가로막아..."권한집중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국전력공사(한전) 중심의 전력계통 구조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로막고 있어, 전력망 계획·접속권한을 독립기관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지적이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날씨]"마스크 챙기세요"...전국 비·눈에 미세먼지까지 '나쁨'

25일 미세먼지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호남권의 대기질이 나쁘겠다.현재 국외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며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 호남은 미세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