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전 멀쩡했던 '점박이물범' 돌연 폐사…해양플라스틱 때문?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13 10:46:50
  • -
  • +
  • 인쇄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점박이 물범'
외상도 없이 사체로 발견되는 건 이례적

▲ 제주에서 발견된 점박이 물범 사체 (사진=연합뉴스)


국내에서도 약 200여마리밖에 없는 '점박이물범'이 제주에서 사체로 발견돼 당국이 폐사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1급 야생동물인 '점박이물범'이 외상도 없이 폐사되는 사례는 극히 이례적이기 때문이다.

'점박이물범'의 사체가 발견된 것은 지난 11일 오전 11시20분쯤 제주 서귀포시 가파도 상동향 인근이다. 점박이물범의 몸길이 124㎝가량이고, 50∼60㎏의 무게가 나가는 암컷이었다. 외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에 따르면 11일 오전 11시 20분쯤 서귀포시 가파도 상동항 인근에서 점박이물범 1마리가 죽은 채로 발견됐다. 발견 당시 사체에는 외상이 없었다. 죽은 점박이물범은 몸길이 124㎝가량, 무게 50∼60㎏의 암컷이다.

앞서 사진작가이자 가파도어촌계장인 유용예씨는 지난달 31일 가파도 앞바다에서 점박이물범 한마리가 건강한 모습으로 유영하는 것을 목격하고 사진으로 기록한 바 있다. 유씨는 이달 2일에도 가파도 앞바다 물속에서 이 점박이물범이 유영하는 것을 관찰했다고 한다. 

그런데 불과 열흘만에 사체로 발견된 것이다. 유씨는 이 점박이물범이 하동항 내 갯벌에서 플라스틱 노끈을 씹고 뱉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을 목격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를 두고 점박이물범의 폐사 원인이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론이 나오고 있다. 바다에 쳐놓은 그물 등 어구나 해양으로 흘러들어가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로 플라스틱 쓰레기를 삼키고 폐사하는 해양생물은 수시로 보고되고 있다. 지난해 6월 국립해양과학기술원(KIOST) 남해연구소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연구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국내 연안에서 사체로 발견된 34마리의 바다거북을 부검한 결과 소화기관에서 포장재, 비닐봉지, 끈, 그물 등 다량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왔다. 

이에 고래연구센터에서 점박이물범을 부검해 플라스틱 쓰레기에 의한 것인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사망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