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대형선박에 부딪힌 다리...20초만에 '와르르'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3-27 11:42:52
  • -
  • +
  • 인쇄
▲선박 충돌로 무너진 미국 볼티모어항의 다리 (사진=연합뉴스)


50년간 멀쩡하던 다리가 20초만에 '폭삭' 붕괴되는 사건이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항구에서 발생했다. 다리를 지나던 대형선박이 교각을 부딪히면서 이같은 결과가 빚어졌다.

CNN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26일(현지시간) 새벽 1시28분쯤 볼티모어항에서 출항한 대형선박이 항구를 가로지르는 '프랜시스 스콧 키 브리지' 중앙 교각을 들이받으면서 이같은 사고가 일어났다. '프랜시스 스콧 키 브리지'는 695번 주간 고속도로의 일부로 1977년 개통했다.

이 다리를 들이받은 선박은 길이 300m, 폭 48m에 달하는 컨테이너 선박이었다. 시속 14.8km 속도로 선박에 들이박힌 교각이 먼저 쓰러졌고, 이후 20초만에 약 2.6km에 달하는 교량 중 강물 위를 지나는 56m구간이 모두 붕괴됐다. 선박 갑판 위로는 파괴된 다리 구조물이 떨어져 조명이 꺼지고 선박과 교량 일부에서 한때 검은 연기와 불길이 치솟았다.

도널드 하인부흐 전 볼티모어 소방서 서장은 수초간 집을 흔드는 소리에 놀라서 깼다면서 "지진이 일어난 것처럼 느껴졌다"고 말했다. 브랜던 스콧 볼티모어 시장은 "키 브리지가 저렇게 무너지는 것을 실제 볼 것이라고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며 "액션영화에서 나온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컨테이너선은 충돌 당시 동력을 상실하고 조종이 되지 않는 상태였다. 마지막 순간 방향을 틀려고 했지만 결국 피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고로 다리 위에서 포트홀(도로 파임) 작업중이던 인부 8명 중 1명이 사망하고 5명이 실종됐다. 나머지 2명은 구조됐다.

메릴랜드주 당국은 항구를 폐쇄하고 운영을 무기한 중단했다. 이로 인해 미국 내 자동차 공급에도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된다. 체서피크만에 위치한 볼티모어항은 대서양과 미국을 연결하는 미 동부의 주요 수출입항이자 미국 최대의 자동차 수출입 관문이었다.

메릴랜드주 홈페이지에 따르면 볼티모어항은 지난해에만 5200만톤의 국제화물을 처리했는데 이는 미국 항구 중 9번째로 많다. 금액으로 따지면 800억달러(약 107조원) 상당이다. 특히 지난해는 자동차와 소형트럭 84만7000여대를 취급했다. 이는 13년 연속 미 항구 1위다.

볼티모어항을 이용하는 자동차 업체는 닛산, 도요타, 제너럴모터스(GM), 볼보, 재규어랜드로버, 폭스바겐 등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볼티모어 항구를 통한 차량 운송은 없는 상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 등과 함께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 시청에서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 사업본부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옷 2000벌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현대백화점이 업사이클 다운베스트 2000벌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했다.현대백화점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

"에어컨 물도 다시"...LG화학 리사이클 공모전서 초등학생 최우수상

한 초등학생이 에어컨 물을 재활용하는 아이디어로 리사이클 공모전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LG화학은 지난 8월 주최한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

[최남수의 ESG풍향계] '아리셀' 판결이 던진 과제

지난해 6월에 발생한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에 대한 1심 재판 결과가 지난 9월 23일에 나왔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위반한 이 회사

'종이제안서' 없앤다...서울시, 지자체 최초 '온라인 평가' 도입

서울시가 제안서 평가를 통해 계약상대자를 결정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에서 '제안서 온라인 평가제도'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제도는 전국 지

경기지역 수출 중소기업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어려워"

여전히 많은 수출기업이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절차 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기후/환경

+

4차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25.3억톤...3차보다 16.8% 줄였다

내년부터 2030년까지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들이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양은 25억3730만톤(t)으로 정해졌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11일에

302평 공영주차장 100kW 이상 '태양광' 설치 의무화

302평이 넘는 공영주차장에는 100킬로와트(kW) 이상의 태양광설비 설치가 의무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

수출효자 상품인데...고수온과 장마로 누렇게 변하는 김

수출효자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김이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과 장마로 인해 생산성과 품질에 타격을 입고 있다.11일 충청남도 서천군에 따르면

'2035 NDC' 53~61% 확정...李대통령 "탄소중립 전환, 피할 수 없는 길"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2035 NDC)가 11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의결되면서 최종적으로 '2018년 대비 53~61% 감축'이 확정됐다.이재명 대통령은 서울 용산

중국 올 3분기 탄소배출 '제자리'..재생에너지 늘린 효과?

전세계에서 탄소배출량이 가장 많은 중국이 지난 18개월동안 탄소배출량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 3분기 탄소배출량은 거의 제자리

[COP30] 기후재원·NDC 최대 현안...'메탄 감축'은 어디로?

10일(현지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개막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기후재원 조성과 '2035 NDC', 열대우림 보호가 최우선 의제로 다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