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의류건조기 성능 '제각각'...건조시간·전력·소음 편차 심해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1 12:12:25
  • -
  • +
  • 인쇄
▲소형 의류건조기 제품 구매·선택 가이드 (사진=소비자원)

일부 소형 의류건조기의 건조 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제품 구입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이 소형 의류건조기 8개 제품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건조도·건조시간·소음 등의 항목에서 제품별 성능 차이가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특히 제품 대부분이 건조용량을 표준(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용량)을 넘는 최대 기준으로 표기하고 있었다.

제품별 건조성능은 최대 표시용량의 80%에 해당하는 면 소재 세탁물을 세탁했을 때 위니아(WWR03SGDV(A))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오아(OET-001WH), 위닉스(HS2E400-MEK) 제품이 '미흡'했다. 미닉스(MNMD-110G), 신일전자(SCD-T03CP), 청호나이스(CH-03ESB), 한샘(HAF-DR420WH), 한일전기(HLD-5100W) 등 5개 제품은 '양호'한 수준이었다.

건조시간도 제품간 최대 1시간23분 차이가 있었다. 표준(스마트)코스로 동작시 한일전기(HLD-5100W) 제품이 1시간43분으로 가장 짧았고, 오아(OET-001WH) 제품이 3시간6분으로 가장 길었다.

이 가운데 세탁물 양이나 건조 정도에 따라 시간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제품은 오아(OET-001WH), 위니아(WWR03SGDV(A)), 위닉스(HS2E400-MEK), 한일전기(HLD-5100W) 등 4개였다. 이 제품들은 소량 건조시 시간 및 전기요금을 절반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었다(면 세탁물 1kg 기준).

작동 중 발생하는 소음은 제품별로 58dB~66dB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비교적 큰 소음이 발생하는 소형 의류건조기는 평균 63dB로 전자레인지(평균 57dB)보다 높고, 드럼세탁기(평균 69dB)보다 낮았다.

또 자연건조 대비 의류 수축률이 높았으며, 면 의류의 경우 총 길이가 평균 3.9% 수축됐다. 이는 소형 의류건조기가 대개 고온의 열풍으로 옷감을 건조하는 히터 건조방식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수축 정도는 섬유재질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어 소비자원은 "의류 취급표시(라벨)를 미리 확인하고 면 등의 수축이 우려되는 의류는 자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에너지소비량의 경우 제품간 최대 1.6배 차이가 나타났다. 한샘(HAF-DR420WH) 제품이 1565Wh로 가장 적었고 한일전기 (HLD-5100W) 제품이 2543Wh로 가장 많았다. 연간 전기요금(연 160회 사용 기준)은 제품 평균 4만7000원으로 TV(평균 4만3000원)보다 높고 냉장고(평균 6만3000원)보다 낮았다.

안전성은 전제품 이상이 없었지만 한일전기(HLD-5100W) 제품의 경우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인증라벨이 미부착돼 있었다. 이후 개선 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원은 건조용량 표시를 표준 용량으로 일원화하도록 제도개선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며, 업체에는 자율 개선을 권고했다. 또 제품별 건조코스, 부가기능에 차이가 있어 구매 전 꼼꼼히 확인할 것을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아름다운가게, 돌봄 공백에 놓은 아동·청소년 돕는다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재단법인 서울시복지재단, 사단법인 피스모모와 함께 13일 협약식을 갖고 '가족돌봄아동·청소년 연결 및 지원사업-함께

LG CNS 'LG ESG 인텔리전스' ASOCIO 어워드 ESG 수상

LG CNS가 자체 개발한 ESG 데이터 플랫폼 'LG ESG 인텔리전스'로 국제적 권위가 있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정보산업기구(ASOCIO) 어워드에서 'ESG 부문'을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기후/환경

+

[주말날씨] 맑고 온화한 가을...17일부터 기온 '뚝'

이번 주말은 대체로 맑고 온화한 늦가을 날씨를 보이겠다. 당분간 내륙·산지를 중심으로 아침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고, 내륙을 중심으로 일교

5년내 화석연료 종말?...IEA "재생에너지로 공급체계 대전환 궤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공급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5년 내에 화석연료 시대가 사실상 종말을 맞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12일(현지시간) 국

[COP30] 年 1.3조달러 누가 낼건데?...기후재원 논의 본격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연간 1조3000억달러 기후대응 재원(NCQG)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를 놓고 본

이대로면 지구 2.6℃ 오른다...화석연료 배출량도 '최고치'

지금 추세대로 가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2.6℃까지 오를 것이라는 섬뜩한 전망이 나왔다.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이 13일 발간

20억명이 화석연료 매연에 노출..."석탄·석유 시설 5km 이내 거주"

전세계 인구의 25%가 화석연료 시설로 인해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전세계 인구의 25%에 달하는 20억명이 석유와 가스, 석탄 등 화석연료 생산시설로부터

[COP30] 기후관련 가짜뉴스 근절한다...'정보 무결성 선언' 첫 채택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기후정보 조작과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정보 무결성 선언'이 처음으로 채택됐다.12일(현지시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