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고령 수돗물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되자, 환경단체가 녹조에 원인이 있다며 낙동강보 개방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31일 기자회견에서 성명서를 통해 "대규모 녹조 창궐 등 극단적 수질오염은 고도정수시스템과 같은 기술관리주의로는 해결하기 어렵다"며 "우리 강의 자연성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녹조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라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은 보를 개방한 금강과 영산강 사례를 들며, 낙동강 보를 개방해야 낙동강의 녹조 및 발암물질 검출 사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27일 세종대학교 맹승규 교수연구팀에 따르면 대구와 고령의 수돗물에서 발암물질인 총트리할로메탄(THMs)이 기준치(0.1ppm)를 초과해 검출됐다.
낙동강을 원수로 사용하는 대구시 A정수장의 경우, 정수장에서 공급하는 관말(가정집 등 사용자 수도꼭지) 8개 지점 중 4개 지점에서 총트리할로메탄 기준치(0.1ppm)를 초과(0.105~0.129ppm)했다. 고령군은 같은 C정수장 공급 8개 지점 모두 기준치를 초과(0.106~0.17ppm)했다. 2014~2016년 전국 정수장 총트리할로메탄 평균 농도는 0.019ppm이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총트리할로메탄 검출이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녹조 해결을 목적으로 소독제를 과도하게 사용한 데 따른 것이라고 짚었다. 연구에 따르면 수온이 높을 때 녹조 발생이 증가하고 총트리할로메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에 단체는 "정부는 수돗물 안전의 상징으로 고도정수시스템을 강조하지만 이는 만능이 아닐 수 있다"며 "강의 자연성 회복이 녹조 및 소독 부산물 문제를 완화하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총트리할로메탄은 정수장에서 미생물 등 유기물을 억제하고자 염소를 투입하는데, 그 잔류염소로 인한 소독 부산물이다. 이러한 부산물은 잔류염소 반응 시간이 늘어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정수장에선 기준치 이내라도 가정집 수도꼭지에선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해서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가 지난 27일 공개한 대구시상수도사업본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매곡정수장을 통한 관말(가정집 수도꼭지) 수치는 0.085ppm, 문산정수장을 통한 관말 수치는 0.082ppm이었다.
다만 단체 측은 국내 기준치를 밑돌더라도 독일(0.05ppm)과 네덜란드 기준치(0.025)를 훌쩍 초과하고 미국(0.08ppm) 기준치도 넘어선다며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대구, 경남, 부산권 가정집 수도꼭지에서 대표적인 녹조 독소 마이크로시스틴이 미국 캘리포니아 임시 가이드라인(0.03ppb)을 초과하기도 했다. 4대강사업 이후 녹조가 대규모 창궐해 수돗물 불안이 가중됐다는 것이 지역 시민단체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단체는 "청산가리 6600배에 달하는 녹조 독에 총트리할로메탄이란 발암물질까지 고농도로 수돗물에서 검출돼 국민은 불안에 떨고 있다"며 민관학이 함께하는 대책기구를 조속히 마련해 공동조사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