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농촌 현실로 닥친 기후위기...전세계 농민소득 15.7% '뚝'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9-22 12:25:44
  • -
  • +
  • 인쇄
농민 71% "기후위기로 농업에 타격" 응답
농민 57% "적응력 뛰어난 종자개발 시급"


전세계 농민들의 71%가 기후위기로 생업에 타격을 입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현지시간) 독일의 의료 및 농업 생명과학기업 바이엘이 지난 5~6월 미국과 중국, 인도, 독일, 호주, 브라질, 케냐, 우크라이나 등 8개국에서 각각 농민 100명씩 총 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보고서 '파머 보이스'(Farmer Voice)에 따르면 농민의 90%는 기후변화를 체감하고 있고, 73%는 최근 3년 사이에 병충해 등으로 심한 부담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엇보다 기후위기로 농작물 수확량이 크게 줄었다. 이로 인해 농가당 평균수익은 15.7%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과 가뭄, 홍수 등 기후변화를 이미 체감하고 있는 농민들은 '앞으로 농가가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비중이 76%에 달했다.

설문에 참여한 한 케냐 농부는 "기후위기로 가뭄이 심해 농삿일을 아예 관둬야 하는 것 아닌지 고민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5월 케냐는 우기에도 비가 거의 오지 않는 40년만의 최악의 가뭄을 맞으면서 굶주린 사자들이 민가를 습격하기도 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경제상황과도 맞물려 농민들은 시름은 더 깊어지고 있다. 향후 3년간 농가를 위협할 3가지 난제에 대한 복수응답을 보면 비료값이 55%를 차지했고, 에너지비용 47%, 가격변동성 37%, 농작물 보호가 36%로 꼽혔다.

농민들 입장에선 건강한 토양이 곧 자본이기 때문에 환경을 보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농민의 84%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조처를 취하고 있고, 이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하지만 응답자의 88%는 환경과 식량안보에 기여하는 정도에 비해 충분한 보상을 받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했다.

농민들은 기후불확실성이 커질수록 농업분야의 기술혁신이 계속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응답자의 57%는 적응력이 뛰어난 농작물들의 종자개발을 가장 시급한 개선점으로 꼽았다. 농작물 현황을 실시간 시각데이터로 파악하고, 온라인 판로를 개척해 수익을 증대하는 방식으로 농작물을 보호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디지털 혁신에 대한 수요도 파악됐다.

바이엘 작물과학 부문 사장 로드리고 산토스는 "농가는 환경과 토양에 가장 가까운 기후위기 최전선에서 심각한 영향을 경험하고 있다"며 "그들이 영향을 가장 잘 알고, 농업은 기후위기를 완화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하기 때문에 농업기술혁신을 통해 제때에 기후복원력을 갖춘 미래를 구축할 수 있도록 농민들의 목소리를 든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색깔로 위험인지'...CJ제일제당, 안전예방 위해 '색채 디자인' 적용

CJ제일제당이 안전한 일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업장과 물류센터에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CJ제일제당은 이를 위해 지난 3일 서울 서초

[최남수의 ESG풍향계] '독립이사'로 명칭 바뀌면 '거수기' 벗어날까?

상법 개정안이 지난 7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데 이어 공포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 감사위원의

카카오임팩트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9월 4일부터 3일간 기후기술 회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기후기술과 AI, 미래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기후/환경

+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2035 NDC' 감축목표 53%? 67%?...환경부, 이달내 2개로 압축

정부가 이달 내로 '202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해 복수의 안을 국회에 제시한다.환경부는 8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현재 각계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최악 가뭄' 강릉 저수율 12.6%...평창 도암댐 물 활용논의

강원 강릉이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연일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상수원은 계속해서 말라붙고 있다.강릉의 오봉저수지의 저수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