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8-13 11:03:53
  • -
  • +
  • 인쇄
▲국민연금공단 본부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13일 국민연금연구원은 '월간 연금이슈 & 동향분석(제113호)'에 실린 'ESG 투자에 관한 논쟁과 정책 동향' 보고서를 통해 최근 제기되는 ESG 회의론의 핵심을 짚었다.

보고서는 ESG가 최근 10년간 세계 자본시장의 표준으로 자리잡았지만, 최근 ESG 투자가 정말 돈이 되는가, 실제 세상을 바꾸는가의 실효성 여부를 두고 회의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주식시장의 대표 ESG 지수(MSCI USA ESG Select)는 장기 누적수익률에서 시장 전체 지수(MSCI USA)에 미치지 못했다. 3년, 5년, 10년 단위로 살펴봐도 수익률은 시장 평균보다 낮고 가격 변동성은 오히려 더 컸다. 위험을 고려한 수익성을 나타내는 샤프비율 역시 시장 전체 지수가 더 높아, ESG 투자가 재무적으로 우월하다는 명확한 증거를 보여주지 못했다.

또 ESG 원칙을 표방하지만 실제 포트폴리오에 대형 화석연료 기업을 다수 포함한 펀드 사례처럼,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는 ESG라는 용어가 구체적으로 어떤 투자 행위를 의미하는지 모호하다는 근본적 한계에서 비롯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미국은 이미 ESG에 비판적인 인식이 퍼지면서 '반ESG' 정책이 나타나고 있다. 플로리다주 등 여러 주에서는 공공연금이 ESG와 같은 비재무적 요소가 아닌 '재정적 요소'만 고려해 투자하도록 법을 제정하고 있다. 2021년부터 4년간 미국 40개 주에서 발의된 반ESG 법안은 392건이고, 이 가운데 44건이 통과됐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기업의 기후정보 공시 의무화 규칙을 채택한 지 한달 만에 자발적으로 효력을 중단했다. 골드만삭스, 블랙록 등 글로벌 금융사들도 ESG 관련 연합체에서 잇따라 탈퇴했다.

ESG를 선도해 온 유럽마저 잠시 주춤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과 '공급망 실사 지침(CSDDD)' 등 ESG 공시 및 실사를 의무화해왔지만, 최근 기업 부담 등을 이유로 일부 규정의 시행을 연기하고 내용을 완화하고 있다.

결국 ESG 투자는 더 이상 전세계 보편적 기준이 아니라, 각국의 정치·제도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맞춤형 정책'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ESG 투자 환경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전문가들은 국민의 노후 자금을 운용하는 국민연금 등 국내 연기금들도 ESG 투자 원칙을 어떻게 정립하고 대응할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핵심은 ESG 투자의 동기가 재무적 수익에 있는지, 혹은 비재무적 가치관에 있는지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KT, 생물다양성 보전 나선다...수달서식지 '원동습지'에서 첫 활동

KT가 습지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 나선다.이를 위해 KT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이스트에서 국립생태원과 기후변화로 급감하고 있

기후/환경

+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씨] 다시 찾아온 장마...이틀간 수도권 최대 200㎜ '물폭탄'

13~14일 이틀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남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과 제11호 태풍 '버들'이 밀어올리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에서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확진자가 1만6500명...기후변화로 태평양 섬나라 '뎅기열' 급증

기후위기로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태평양 국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국가비상사태로까지 번지고 있다.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태평양 섬나라

부글부글 끓는 지중해...유럽 전역 산불과 40℃ 폭염에 '신음'

유럽 전역이 역대급 폭염과 산불에 신음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4세 어린이가 열사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고, 프랑스에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