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파악, 지속가능보고서 활용 등 대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에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지, 별도로 해야 하는지 아니면 사업보고서에 넣어야 하는지, 기준이 정해지면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나겠지만 그래도 막막하네요." 최근 만난 한 기업 재무담당 직원의 이야기다.
6일 재계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ESG 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국내 금융당국도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기업들의 ESG 공시 의무화를 추진중이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1월 금융위원회가 공시 의무화 로드맵을 공유했고, 지난해 12월 관계부처합동으로 K-ESG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금융당국은 연내 공시관련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제적으로도 ESG 공시기준 마련에 속도가 붙고 있다. 지난달 말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기후관련 재무정보 및 기업의 지속가능성 공개에 관한 표준' 초안을 발표했다. 이 초안은 투자자 중심의 지속가능성 공시의 포괄적인 국제 기준선이자, 이해관계자들의 정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각 국가별 요구사항과 양립할 수 있는 기준을 제정하는 것이 목표다. ISSB는 공개초안에 대해 올 7월 29일까지 전세계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이후 공개초안의 의견에 대해 ISSB에서 재심의 후 내년에 '최종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을 공표할 예정이다.
이처럼 국내외적으로 ESG 공시 의무화가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기업들도 대비에 분주하다. 그나마 ESG 경영을 일찍 시작했고, 꾸준히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을 공개했던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모습이다. 수년전부터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내고 있는 한 기업 관계자는 "공시 기준이 어떻게 나올지는 몰라도 지속가능보고서를 발간하면서 관련된 내용들을 이미 계량화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관련 보고서를 만들어 본 적이 없는 기업, 아직 ESG의 불모지로 여겨지는 중소기업의 경우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기업은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을 준비중인 곳도 있다. 또 재무나 공시 담당자들을 ESG 공시 관련 세미나나 심포지엄 등에 보내는 기업도 다수다. 한 기업 공시담당자는 "대기업에 비해 (공시 의무화까지) 여유가 있기는 하지만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회사의 판단에 관련 설명회나 세미나 등이 있으면 빠지지 않고 들으려 하고 있다"며 "그래도 아직 막막한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김정남 삼정KPMG 상무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가별 매출 100대 기업의 비재무보고서 발간율이 높은 나라(90% 이상)는 14개국이다. 특히 일본의 매출 100대 기업은 모두 비재무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은 각각 78% 수준에 머물고 있다. 여전히 국내 기업들의 ESG 정보 공개가 뒤쳐지고 있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ESG 경영 그리고 공시와 관련해 경영진의 의지, 직원을 비롯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통한 로드맵과 비전 마련,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정보 공개 등을 통해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오덕교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연구위원은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최 세미나에서 "평가결과를 이용한 개선을 위해 개선사항 구분 및 정리, 개선 로드맵 작성을 통한 개선사항의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며 "즉시 개선 가능한 사항, 개선 가능하나 시간이 필요한 사항, 담당자의 권한을 뛰어넘는 사항 등으로 구분해 정리하고 로드맵을 작성해 관리하고 소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중소기업중앙회도 ESG 도입을 고민하는 중소기업을 위해 △ESG 담당자와 조직 지정 △해당 기업이 직면한 ESG 리스크 파악 △정부의 지원사업 적극 활용 등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