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총장 "인류는 '대량멸종의 무기'가 됐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8 16:57:54
  • -
  • +
  • 인쇄
COP15 개막…"행성B는 존재 않는다" 경고
지구의 30% 보호 '30x30' 목표 합의 추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7일 COP15 개막식에서 생물다양성감소에 대한 극명한 경고를 보냈다.(사진=UN Biodiversity 트위터)

7일(현지시간) 유엔 COP15생물다양성정상회담이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Antó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은 COP15에서 이번 10년 유엔 생물다양성 목표에 대한 공식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이날 개막연설에서 "우리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며 인류가 대량멸종의 무기가 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우리의 땅, 물, 공기가 화학물질과 살충제에 오염되고 플라스틱에 질식하고 있다"며 "우리가 아이들에게 주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행동에 책임을 지는 것"이고 "행성 B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기념식에서 쥐스탱 트뤼도(Justin Trudeau) 캐나다 총리는 각국이 지구 자연의 30%를 보존하는 목표에 동의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이 30%의 수치가 멸종 위험을 피하고 식량과 경제안보를 보장하는 중요한 문턱임을 강조하며 "충분히 실현가능한 수치"라고 말했다. 스티븐 길보(Steven Guilbeault) 캐나다 환경부 장관 또한 30% 목표가 1.5도 기후목표에 맞먹는 중요성을 지녔다고 전했다.

이른바 '30x30'으로 알려진 이 목표는 이번 10년간의 생물다양성 보호협정을 위해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제안이다. 영국, 코스타리카, 프랑스가 이끄는 해당 목표는 100여개국 연합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일부 원주민들과 인권운동가들은 토지수탈과 지역사회에 대한 폭력을 합법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관해 길보 장관은 '30x30' 목표가 생물다양성 버전 '1.5도' 목표로서 이번 정상회담을 위한 공동목표 중 하나라고 밝혔다. 그는 COP15 개막식 기자회견에서 "캐나다는 2030년까지 육지와 물의 30%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로서 약속했다"며 원주민, 지방, 영토와 최선을 다해 협력 중이라고 주장했다.

엘리자베스 마루마 므레마(Elizabeth Maruma Mrema) UN 생물다양성협약 사무총장과 잉거 안데르센(Inger Andersen) UN환경프로그램 집행이사는 이번 정상회담이 화석연료 다음으로 큰 온실가스 배출원인 토지의 배출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므레마 사무총장은 "홍수, 가뭄, 폭염, 산불과 같은 재해가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이런 재난은 모두 생태계에서 일어난다"며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복원하지 않는 한 기후온난화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임을 짚었다.

이번 COP15회담은 EU에서 산림벌채에 기여한 모든 제품을 규제하는 법안이 통과하면서 상당한 힘을 얻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농산물 수입국인 EU는 열대림 손실과 관련된 규제안을 세웠는데 이는 소, 코코아, 커피, 팜유, 고무, 콩 그리고 목재 제품의 무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글렌 휴로위츠(Glenn Hurowitz) 국제 환경단체 마이티어스(Mighty Earth) CEO는 해당 법안을 두고 "세계 산림의 판도를 바꾸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유럽 정부가 처음으로 농산물을 판매하는 기업들에게 '당사 또는 당사의 공급업체가 숲을 파괴한다면 그 제품을 팔 수 없다'고 알리고 있다"며 "이 법으로 유럽은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시사했다.

다만 휴로위츠 CEO는 원주민 권리와 이탄지와 같은 기타 중요한 비산림 생태계는 보호하지 못하는 등 법안에 빈틈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캐나다 COP15 회담은 12월 19일에 마무리될 예정이나 주말에 진행된 사전 협상에서 이미 정부 간 상당한 이견이 두드러지면서 예정보다 늦게 끝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요일 개막식 기자회견에서 황룬추(Huang Runqiu) COP15 총재이자 중국 환경부 장관은 팬데믹으로 회담을 중국 쿤밍에서 캐나다 몬트리올로 옮기는 어려운 결정을 했다고 언급하면서 각국이 최종합의를 도출하는 데 있어 중국의 역할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