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와 탄소, 산소화합물인 포름산염을 먹이면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들어내는 미생물 2종이 발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일부 미생물이 '탄소포집 및 활용·저장 기술'(CCUS)로 발생한 포름산염을 섭취하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해당 미생물 2종을 분리 배양하는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올초부터 고려대학교, 원광대학교와 공동으로 진행했다.
2종의 미생물은 국내 하천 및 저수지 등에서 찾아냈다. 연구진은 이 미생물들이 기존에 알려진 메탄올자화균 메틸로러브럼(Methylorubrum)보다 5배 이상의 포름산염을 섭취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것을 확인했다.
개미산이라고 불리는 포름산염은 수소, 탄소, 산소로 이뤄진 산성 액체(카복실산, CH₂O₂)다. 최근 이산화탄소(CO₂)와 수소(H₂)를 합성해 포름산염으로 전환하는 온실가스 저감기술(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이 주목받고 있다.
이 미생물들이 만들어내는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PHB)다. 석유로 만든 일반 플라스틱과 성질이 비슷하지만 자연상태에서 쉽게 분해되는 장점이 있다. 화장품 용기나 재활용 플라스틱, 수술용 봉합사 등을 만드는데 주로 쓰인다.
연구진은 고부가가치 화합물인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생산하는 이들 미생물의 유전체를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최적의 포름산염 활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