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 고속도로'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이재명 대통령이 전력망 인프라를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새롭게 정비할 것을 주문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6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에너지 전환은 필수과제"라며 "앞으로 필연적으로 늘어나게 될 재생 에너지를 중심으로 전력망 인프라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기후위기에 따른 폭염과 폭우를 겪고 있는데 결국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며 "AI(인공지능) 혁명까지 더해진 지금, 전력망 개선을 통한 재생에너지 공급이 매우 시급해졌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장거리 송전의 비효율성을 낮추고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방안을 모색하라"고 관계부처에 지시했다. 아울러 "전국의 전력망을 촘촘히 연결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도 속도를 내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지역주민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보장하도록 조치해줄 것도 당부했다. 이는 그동안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과정에서 발생한 지역민 반발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라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또 "에너지 고속도로에 대한 오해가 있는 것같다"면서 "에너지 고속도로란 서울로 가는 뻥 뚫린 길이 아니고, 대한민국 전국을 촘촘하게 연결하는 첨단 전력망을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최근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을 놓고 발전소와 태양광 패널같은 시설을 지방에 몰아두고 에너지 혜택을 서울에서 보려는 '수도권 일극주의' 전략이라는 일각의 주장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고속도로'는 재생에너지 핵심 클러스터인 호남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국에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고압직류송전(HVDC)망을 건설하는 정책을 말한다. 쉽게 말해 햇빛과 바람이 풍부한 서남해안 지역에서 생산된 태양광, 해상풍력 발전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고속·고효율 송전망'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요즘 고속도로는 꼭 서울로만 향하는 게 아니다"며 "오해를 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