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만 잘 가꿔도 '지구온도 0.5℃ 이상 낮춘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3-25 14:42:52
  • -
  • +
  • 인쇄
열대우림은 기온을 1℃ 이상 낮추는 역할
연구진 "숲은 기온 낮춰 온난화 완화시킨다"


산림이 탄소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지구 기온을 최소 0.5℃ 낮춰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간) 미국·콜롬비아 공동연구진은 숲이 단순히 탄소저장 기능을 넘어 에너지와 물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대기를 최소 0.5℃ 더 차갑게 유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숲이 탄소저장고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대기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브라질과 과테말라에서 차드, 카메룬,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열대우림은 기온을 1℃ 이상까지 낮춘다. 

연구진은 숲이 지구적, 지역적 온도에 물리적 영향을 미쳐 지구를 기후위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고 설명했다. 숲은 생각보다 기후위기 해결에 있어 훨씬 더 크고 복잡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숲이 생물학적 휘발성 유기화합물(BVOC)을 방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BVOC는 들어오는 에너지를 반사하고 구름의 재료인 에어로졸을 생성해 기온을 낮춘다. BVOC는 오존과 메탄을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그 이상으로 기온을 낮춰 온난화를 늦출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숲의 냉각효과는 탄소와 같은 생화학적 요인과 달리 나무의 목재, 잎, 밀도와 같은 다양한 생물물리학적 효과로 인한 것이다. 땅에 깊게 내린 뿌리, 효율적인 물의 순환, 우거져있는 나무 등의 요소들도 극심한 열기를 완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물리적 특성 덕분에 나무는 넓은 범위에 걸쳐 지구 표면의 열을 직접 식히고 구름 형성과 강우량에 영향을 미친다.

또 라틴아메리카, 중앙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에 걸쳐있는 열대우림 지대가 이러한 이점을 가장 크게 창출해 기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숲이 완화와 적응, 공기 냉각, 기후붕괴로 인한 가뭄, 폭염 및 홍수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했다.

루이스 베르쇼(Louis Verchot) 국제열대농업센터(CIAT) 수석과학자는 "숲이 주는 기후혜택이 무수하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정책입안자들은 나무를 여전히 탄소조각으로 취급한다"고 지적하며 "숲은 완화의 핵심인 동시에 적응의 열쇠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삼림벌채는 생물다양성, 식량안보 그리고 지구온난화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에서는 기온상승으로 인류가 직면한 재앙에 대해 경고했다.

열대삼림은 숲의 생물물리학적 효과를 증대해 탄소저장 및 격리 수준이 가장 뛰어나다. 다시 말해 열대 산림벌채는 폭염을 증가시키고 강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연구 주요저자 데보라 로렌스(Deborah Lawrence) 미국 버지니아대학 교수는 "생물물리학적 요인은 지구를 직접 식히지는 않지만 우리가 열을 경험하는 방식을 바꾼다"면서 "열대지방의 심장은 지구의 심장"이라며 숲이 우리의 생존에 매우 중요함을 강조했다.

이미 많은 전문가들이 세계 산림을 보호하는 것이 자연기반 해결방안으로 가장 유망하다고 손꼽고 있다. 연구 공동저자 마이클 코(Michael Coe) 우드웰(Woodwell) 기후연구센터 열대프로그램책임자는 "숲이 없다면 지구가 더 더워지고 날씨도 더 극단적일 것"이라며 "숲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최악의 사태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준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는 '숲과 지구변화의 경계(Frontiers in Forests and Global Change)'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