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림 벌채금지 등 사후 유지관리 시급"
벌채된 산림을 복원해놓으면 불과 4~8년만에 다시 벌채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최근 미국 콜롬비아대학과 브라질 상파울루대학 및 ABC연방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복원된 브라질 열대우림의 3분의1이 복원된지 불과 4~8년만에 다시 벌채로 파괴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복원된 산림이 다시 벌채로 사라지지 않도록 복원산림에 대한 벌채 방지 등 사후 유지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브라질 대서양림은 대서양 연안에 자리한 1억5000만 헥타르 규모의 열대우림이었지만 현재 약 3200만 헥타르만이 남아있다. 위험에 처해있는 이 지역 산림을 복원하는 것이 급선무인 실정이다.
연구진은 브라질 대서양림의 재생 수준을 수치화하고 재생된 숲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식별했다. 그리고 1985년~2019년 기간의 토지데이터를 사용해 복원된 대서양림의 현황을 추적했다. 조사결과 연구진은 2019년까지 복원된 삼림 450만 헥타르 중 310만 헥타르만 남아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의 주요저자 페드로 리베이로 파이퍼 콜롬비아대학 박사는 복원림의 재벌채로 생물다양성과 탄소저장 기능이 저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재생된 숲의 3분의2가 지속되며 생물군 보존에 긍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지만, 재생된 숲의 수명이 짧다는 사실도 드러나 산림 복구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열대림 재생의 지속성 보장이 파리 협정에 따른 복원 및 탄소감축을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하며, 산림재생 과정에서 재벌채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브라질 대서양림이 17억5000만톤의 탄소를 흡수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실제 흡수된 수치로 추정되는 5억2000만톤의 3배 이상이다.
자연림 복원은 비용 효율이 높은 생태계복원 및 탄소감축 방법이다. 마리아 우리르테 콜롬비아지구연구소 교수는 "열대림 복원 및 재생을 통한 탄소흡수가 기후변화 완화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는 숲이 보호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재생된 숲이 지속되는 조건을 조사한 결과 가파른 경사면이나 강, 기존 숲, 농업지와 가까울수록 재생림이 생존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민가 인근의 재생림은 지속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또 산림복원은 주로 목초지와 이동경작지에서 이뤄졌지만, 이런 환경에서 지속될 가능성은 낮았다.
연구진은 황폐화된 지역을 복원할 뿐 아니라 재생된 숲의 지속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퍼 박사는 "재생림은 생물다양성 및 생물량을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데 수십 년이 걸린다"며 "재생림의 지속조건을 식별하는 작업은 효과적인 산림 복원정책 개발에 중요하다"고 했다.
해당 연구는 환경연구서신(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