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구잡이로 베어낸 열대산림...탄소배출량 2배 늘렸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3-03 08:30:02
  • -
  • +
  • 인쇄


열대삼림 벌채로 탄소배출량이 불과 20년만에 2배 늘었다.

영국 리즈대학 도미닉 스프래클렌 지구환경학부 교수가 이끈 공동연구팀은 열대삼림 벌채로 인한 탄소배출이 지난 20년동안 2배로 증가했고, 농업지 면적이 확장되면서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네이처지속가능성(Nature Sustainability) 학술지에 게재했다. 이는 산림벌채로 인한 탄소배출이 약간 감소했다고 보고한 2021세계탄소비용(Global Carbon Budget 2021) 평가와 대조되는 결과다.

연구진은 고해상도 위성데이터로 조사한 결과, 2001년~2020년까지 콩고민주공화국, 인도네시아, 브라질에서 산림손실이 가장 크게 발생했으며, 아마존 등 열대우림 개간으로 인해 남미 국가의 총배출량이 가장 큰 것으로 보고했다. 분석결과 열대지방의 토지 개간 중 약 5분의1이 상대적으로 탄소가 많이 저장된 산악지대, 특히 아시아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벌채는 화석연료에 이어 두번째로 큰 온실가스 배출원이다. 2000년대 이후 세계 산림의 약 10%가 사라지면서 지구온난화를 앞당겼다. 전세계 산림은 총 861기가톤의 탄소를 보유한 거대한 탄소저장소로, 이는 약 100년치의 화석연료에서 배출된 탄소량과 맞먹는 양이다. 나무가 잘리면 이렇게 저장되어 있는 탄소는 그대로 대기에 방출된다. 

이에 2014년 뉴욕산림선언(New York Declaration on Forests)에서는 2020년까지 산림벌채 비율을 절반으로 줄일 것을 목표했다. 지난해 10월말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세계 산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142개국이 2030년까지 산림손실과 토지 황폐화를 막고 되돌리기로 약속했다. 이러한 산림벌채를 줄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산림벌채 배출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토지의 탄소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얻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되다보니 연구자들이 전체 탄소배출 현황을 파악하고 기후대응을 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구의 공동저자 도미닉 스프래클렌 교수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사용하는 표준방법은 소규모 산림벌채나 산악개간 등을 포착하지 못한다"며 "IPCC는 연구팀이 지난 20년동안 봐왔던 경향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산림벌채와 산림탄소손실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을 우려했다.

목축업, 야자유, 콩, 코코아, 고무, 커피는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열대우림 파괴의 주요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한편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발간된 IPCC 2차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피해가 예상보다 심각해 최악의 경우를 피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경고했다.

연구의 주요저자인 유펑 중국 남방과학기술대학교(SUSTECH) 박사과정 학생은 "열대 숲은 거대한 탄소저장고"라며 지구온난화를 늦추려면 산림벌채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색깔로 위험인지'...CJ제일제당, 안전예방 위해 '색채 디자인' 적용

CJ제일제당이 안전한 일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업장과 물류센터에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CJ제일제당은 이를 위해 지난 3일 서울 서초

[최남수의 ESG풍향계] '독립이사'로 명칭 바뀌면 '거수기' 벗어날까?

상법 개정안이 지난 7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데 이어 공포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 감사위원의

카카오임팩트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9월 4일부터 3일간 기후기술 회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기후기술과 AI, 미래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기후/환경

+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2035 NDC' 감축목표 53%? 67%?...환경부, 이달내 2개로 압축

정부가 이달 내로 '202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해 복수의 안을 국회에 제시한다.환경부는 8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현재 각계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최악 가뭄' 강릉 저수율 12.6%...평창 도암댐 물 활용논의

강원 강릉이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연일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상수원은 계속해서 말라붙고 있다.강릉의 오봉저수지의 저수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