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오락가락 관세정책...캐나다와 멕시코 '25%관세' 車는 유예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6 12:19:40
  • -
  • +
  • 인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한달간 유예하기로 했다.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4일(현지시간)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지 하루만에 자동차는 열외시킨 것이다. 캐나다·멕시코에 생산기지를 둔 자국의 자동차업체들이 입을 타격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북미에서 생산된 차량 중 미국-캐나다-멕시코 3국이 체결한 자유무역협정(USMCA)의 원산지 규정을 준수한 차량에 한해 한달간 25% 관세 부과를 면제하기로 했다"라며 "이 기업들은 한달동안 대통령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처는 트럼프 대통령과 제너럴 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 등 자동차업체 최고경영자(CEO)들간의 통화 이후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는 통화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의 제조공장을 미국으로 옮겨야 한다"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달이란 시간은 주요 제조 공장 이전에 대한 계획 마련을 위한 기간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자동차 공급망은 캐나다, 멕시코와 함께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주요 부품 생산공장과 차량 제조공장 등이 국경을 넘어 긴밀하게 이어져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 관세가 부과되면 자동차 업체들은 이중 삼중으로 관세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싱크탱크 앤더슨 리서치 그룹은 캐나다·멕시코산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북미 전역의 자동차 제조 비용이 최소 3500달러(약 504만원)에서 최대 1만2000달러(약 1728만원)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관세 유예는 미국 자동차 업체뿐만 아니라 일본 도요타자동차처럼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자동차 기업들에게도 적용된다. NHK나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일본 언론에서는 일본 자동차 기업들이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은 면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이번 조처가 '임시 면제'인 만큼, 관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업들의 움직임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 선봉장인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최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관세 면제 방칭에 대해 "관세 정책 후퇴는 절대 아니다"라며 "오는 4월 2일 상호관세 발효 때까지 한시적인 조처"라고 강조했다.

한편 자동차 업계가 관세 유보 조치를 얻어내는 데 성공하면서, 다른 업계들도 잇달아 유보 조치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관세 부과로 수입 비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는 농업 부문이 다음 예외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은 이날 백악관 회의에 참석한 뒤 예외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 품목으로 비료를 꼽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농업 분야를 위한 예외 인정 조치를 해 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본다"며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 대통령의 리더쉽이 발휘될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2035 NDC' 감축목표 53%? 67%?...환경부, 이달내 2개로 압축

정부가 이달 내로 '202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해 복수의 안을 국회에 제시한다.환경부는 8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현재 각계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