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5% 관세폭탄에 캐나다 '보복관세'...멕시코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4 13:16:23
  • -
  • +
  • 인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부터 동맹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캐나다에 추가로 10% 에너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3일(현지시간) 재확인했다.

3국은 미국-캐나다-멕시코 자유무역협정(USMCA)에 따라 무관세 무역을 해왔던 터라, 사실상 '관세전쟁'이 선포된 것이나 다름없다. 이에 캐나다는 1550억 캐나다달러(약 156조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이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의 관세가 발효될 경우 300억 캐나다달러 상당의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21일 이내에 추가로 1250억 캐나다달러 상당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뤼도 총리는 "우리의 관세는 미국의 무역 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며 이밖에 여러 비관세 조치도 고려하겠다고 덧붙였다.

같은 날 조나단 윌킨슨 에너지자원부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관세가 미국 소비자들의 에너지 가격을 높일 것이라며 "미국과 캐나다 모두에 경제적 고통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멕시코는 아직 구체적인 대응책을 발표하진 않았지만, 보복 관세 부과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그간 여러차례 기자회견에서 "냉철함을 유지한 채 미국의 판단을 지켜보고 있다"며 "우리는 플랜 A부터 D까지 다양한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지난달 현지 라디오 인터뷰에서 역내 경제 통합의 중요성에 방점을 두면서도 "미국에서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우리도 관세로 대응해야 한다"고 역설했었다.

마찬가지로 25% 관세 부과를 통보받은 유럽연합(EU)은 이미 역내 통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보복 조치를 검토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업종별 관세에 이어 전세계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하는 상호 관세도 다음 달 2일부터 시행하겠다는 방침으로, 유럽과 같은 오랜 동맹과의 마찰도 불사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과 주요 동맹들이 보복과 재보복을 거듭하면서 분쟁을 키울 경우 동맹 관계가 예전처럼 유지되기 힘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자의적이고 일방적인 관세 폭탄은 30년간 유지되어 온 세계무역기구(WTO) 중심의 자유무역 규칙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통상 질서의 급변을 초래할 위험까지 있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은 미국 내 에너지 가격과 장바구니 물가까지 오를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미국 소비자는 과일, 채소, 육류, 자동차, 가전 등 상품에서 더 비싼 가격을 마주하게 될 것"이라면서 "미국의 관세는 수많은 미국 가정에 영향을 끼칠 것이며, 전략적 실수로 여겨질 것"이라고 단언한 바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