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멀다하고 시간당 100㎜ '극한호우'…기후변화로 더 잦아진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2 16:28:02
  • -
  • +
  • 인쇄
100㎜ 넘는 호우 열흘동안 8차례 발생
강수량 폭발적인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지난 17일 호우로 침수된 충남 당진(사진=연합뉴스)

시간당 100㎜가 넘는 '극한호우'가 쏟아지는 장맛비가 매년 반복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22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21일까지 약 한달간 1시간당 100㎜ 이상의 폭우 사례가 총 8차례 발생했다. 이같은 폭우는 최근 열흘 이내에 모두 발생했고, 경와 충남, 전라 등 서쪽지역에 집중됐다. 지난 10일 전북 군산시 어청도에는 1시간에 146㎜가 쏟아져 마을이 잠겼고, 지난 17일에는 경기도 파주와 인천시 강화 등의 하루 강수량이 300㎜가 넘었다.

기상청은 올해 전국을 덮친 집중호우의 직접적인 원인이 '저기압'이라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장마철 호우 강도는 저기압 발달 양상에 따라 달라지는데, 올해에는 중국과 몽골지역에서 발생한 저기압이 매우 강하게 발달하면서 북태평양 고기압과 부딪혀 많은 비를 뿌렸다는 것이다. 특히 거대한 저기압 끝쪽으로 약 200~300㎞ 크기의 중규모 저기압이 장마전선과 만나면서 수도권과 중부지방 국지성 호우를 유발했다.

특히 올해는 중국 내륙에 있던 수증기가 남서풍을 타고 한반도로 폭발적으로 유입되면서 예측 불가능한 날씨가 이어진 것이 특징이다. 그러다보니 100~200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하는 극한호우가 올해는 빈번하게 발생했던 것이다. 

문제는 앞으로 이같은 '극한호우'가 매년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극한호우'가 일상화된다는 관측이다. 포스텍 환경공학부 민승지 교수는 22일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금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면 21세기 말에는 500년 빈도의 극한호우가 1년에 2~3번 한반도를 강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민승지 교수연구팀이 기후모델인 CCLM 모델을 적용해 21세기 마지막 5년인 2095년~2100년 사이의 강수량을 예측해보니 시간당 120~180㎜에 이르는 호우가 총 13번은 올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지난 2022년 8월 서울 강남 침수로 화제가 됐던 시간당 141㎜ 호우가 500년에 한번 있을 폭우로 기록됐는데, 이같은 극한호우가 1년에 2~3번꼴로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강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두가지가 꼽힌다.

하나는 '포화수증기량'의 증가다. 포화수증기량은 대기가 머금을 수 있는 최대치의 수증기량으로, 기온이 1℃ 상승할 경우 포화수증기량은 7%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온이 오를수록 대기중 수증기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므로, 탄소배출 증가로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면 포화수증량이 그만큼 증가한다.

실제로 지구 평균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6월부터 올 6월까지 최근 13개월간 지구 평균기온은 매달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 최근 12개월 평균 지구기온은 지구가 견딜 수 있는 임계온도인 1.5℃를 넘어선 1.6℃에 이른 상태다.

극한호우의 두번째 요인은 '강한 상승기류'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지표면 부근의 공기는 햇빛을 받아 따뜻해지면 상승하고, 이 빈공간에 극지방에서 하강한 차가운 공기가 메우면서 대기순환이 이뤄진다. 상승기류는 수증기를 품은 공기를 만나면 적란운이 형성되는데, 상승기류가 강할수록 짧은 시간에 적란운이 형성되기 때문에 국지성 호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던 대기순환은 기후변화가 심해질수록 변동성이 커지게 된다. 대기 아래쪽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위로 올라가 응결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을 방출해 대기 상층의 온도를 높인다. 상층 대기압이 올라가면 상대적으로 약한 상승기류는 상층 대기를 뚫지 못하고 소멸되고, 강한 상승기류만 남게 된다.

민 교수는 "3~4년 전까지만 해도 시간당 100㎜ 폭우는 굉장히 드물었다"면서 "그 사이에 지구 기온이 급격히 증가한 것도 아닌데 올해 강우 형태는 기온 상승으로 인한 수증기량 증가에 비해 변동폭이 더 컸다"고 말했다. 이어 "변수가 워낙 다양해서 현재 정확한 원인을 짚기 어렵다"면서 "다만 확실한 것은 지금 예측하고 있는 것보다 기후변화가 더 심하고 극한호우도 잦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아마존 '지구허파' 옛말?...14만건 산불로 '탄소배출원'으로 전락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지난해 산림벌채보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유럽연합(EU) 공동연구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