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이 늦겨울에서 이른봄까지 낙엽이 떨어지지 않는 현상을 연구하는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에 아시아 대표로 참여한다.
1일 국립수목원은 영국의 큐왕립식물원, 미국의 미주리식물원, 독일 베를린식물원 등 전세계 대표 수목원·식물원 18개 기관과 함께 '낙엽 발생 지연'(leaf marcescene)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낙엽은 잎의 노화로 발생하고, 잎의 노화는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옥신'이라는 호르몬이 감소하면서 잎과 가지의 연결부위인 잎자루 아래에 딱지처럼 '떨켜층'(abscission layer)이 굳어지고, 이로 인해 잎이 떨어진다. 이 떨켜층이 형성되지 않으면 추운 겨울동안 나무의 가지에 죽은 잎들이 떨어지지 않고 늦겨울이나 이른 봄까지 남아 있는 '낙엽 발생 지연' 현상이 나타난다.
'낙엽 발생 지연'은 북반구 온대활엽수림 나무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생리기작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중국 북경식물원, 인도 캐쉬미어대학식물원과 더불어 아시아 대표로 참여한 국립수목원은 동아시아 지역에 자라는 낙엽활엽수종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낙엽 발생 지연' 현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설들이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기후위기로 이상저온이 발생하면서 떨켜층이 형성되는 기작 자체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도 보고 있다. 하지만 국립수목원 관계자는 "현재로선 인간에 의한 기후위기 이전부터 나무들이 꾸준히 발전시켜 온 진화의 산물이라는 게 공동연구팀 내 중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후위기 영향에 따른 건강이상 신호라기보다는, 나무가 겨울 동안 죽은 잎을 간직함으로써 곤충이나 새로부터 새싹을 싸고 있는 '겨울눈'을 보호하고, 이른 봄에 땅에 떨어져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적절한 미네랄 영양분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봉우 광릉숲보전센터장은 "이번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가 낙엽 발생 지연 현상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동아시아 및 한반도 지역의 산림에 적용하여 관련 연구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