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줄다리기' 시작...관세는 '미끼' 속내는 750조 투자?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5 11:21:03
  • -
  • +
  • 인쇄
▲24일(현지시간) 만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

25% 관세가 부과되는 8월 1일을 1주일 남겨놓고 한미간 관세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미국이 한국의 관세율을 낮춰주는 대신 일본의 대미 투자규모와 맞먹는 수준의 딜을 요구할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미국은 일본과의 협상에서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춰주는 대신 5500억달러(약 755조원) 규모의 투자·시장 패키지를 얻어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시장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도 인터뷰에서 "한국이 일본 합의를 읽었을 때 욕설이 나오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고 말하며, 일본과의 비교가 한국 측 협상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미국은 이미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 무역 파트너와의 협상에서 관세율을 15%로 인하하는 대신 자국산 농축산물과 에너지 수출 확대, 대규모 투자 약속을 이끌어냈다. 이 과정에서 관세율 조정은 최종 혜택이며, 실질적 '보상'이 협상 전제조건처럼 활용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가로 자동차 관세율이 0%다. 하지만 미국은 자국 무역적자를 이유로 관세 압박을 하고 있다. 미국은 한국에 '눈에 보이는' 성과를 요구하고 있는데, 일본이 자동차, 농산물, 보잉 항공기 등에 대한 수입 확대와 함께 755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한 사례가 한국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길 기대하는 분위기다.

미국은 단일 부처가 아닌, 백악관·재무부·상무부·무역대표부(USTR) 등 다양한 라인을 통해 요구사항을 분산시키고 있다. 상무장관은 한국과의 협상에서 4000억달러(약 550조원) 수준의 투자 카드를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준비한 2000억달러(약 274조원) 규모의 투자 패키지는 미국 측 기대에 못미친다는 반응을 낳고 있다. 투자 규모뿐 아니라 농축산물 수입 확대, 디지털 규제 완화, 에너지 협력 등 다층적 양보가 사실상 연계돼 있다.

디지털 부문에서는 미국 기업들이 한국의 위치정보 사용제한, 경쟁당국 규제 집행 등을 문제삼고 있다. 특히 구글맵의 제한적 서비스가 대표적 사례로 언급되며, 협상 대상에 포함된 정황이 포착됐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가 협상 테이블에 올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의 합의 테이블에도 이 사업을 포함시켜 긍정적 반응을 얻어냈기 때문에 한국과의 협상에서도 투자와 사업참여를 요구할 것이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8월 1일부터 25%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을 이미 공표한 상태다. 미국 측은 한국과의 협상에서도 '선 양보, 후 인하' 구조를 명확히 하며, 실익 없는 상징적 합의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간 회담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80분간 진행됐다. 산업부는 "전략 제조업 협력 강화와 관세 인하 방안을 논의했고, 추가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관세율, 투자 규모, 시장 개방 조건 등 핵심 쟁점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으며, 한국이 제시한 2000억달러 규모의 보상안은 미국의 기대선인 5500억달러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은 단순히 관세 협상이 아닌, 자국 산업과 고용에 직접 연결되는 이익을 중심으로 협상 프레임을 설정하고 있다. 한국은 이런 상황 속에서 일주일 남은 협상시한 내에 미국이 납득할 만한 수준의 실질적 협상안을 제시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