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종말 시계' 자정까지 '90초' 남았다...전쟁과 기후위기로 '재깍재깍'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4 11:45:01
  • -
  • +
  • 인쇄
▲미국 핵과학자회가 23일 공개한 '지구 종말 시계' 초침(출처=워싱턴 AFP/연합뉴스)

'지구종말 시계'가 자정까지 겨우 90초를 남겨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종말 시계를 주관하는 미국 핵과학자회(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BSA)는 23일(현지시간) 이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이는 1947년 설정된 이래 가장 근접한 수치"라고 밝혔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속되는 국제분쟁 및 핵위협 그리고 기후위기에 대한 부족한 대응때문이라고 했다. 이외에 인공지능(AI) 기술 및 생명공학 기술의 규제없는 확산도 지구종말 시계를 앞당기는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레이첼 브론슨(Rachel Bronson) BSA 회장은 "자정까지 90초는 매우 지속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지난해 설정한 초침을 유지한 것은 결코 희망적인 이야기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BSA는 우-러 전쟁 때문에 지구종말 시계가 자정 90초전으로 당겨졌는데 여기에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까지 터지면서 국제정세가 더 악화된데 따른 결과로 해석했다. 브론슨 회장은 "러시아와 이스라엘 모두 핵보유국으로 지구종말과 큰 관련이 있다"며 "이것이 국제분쟁으로 격화된다면 더 많은 핵무기 보유국이 참전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후위기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BSA는 "2023년은 기록상 가장 더운 해로 밝혀지는 등 기후위기는 더욱 극심해지고 있다"며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 증가하면서 기후변화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다"고 했다. 또 BSA는 "지난해 지속가능 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1조7000억달러 규모인 것은 희망적이다"라면서도 "1조달러에 달하는 화석연료 투자도 여전하다"고 꼬집었다. 

다만 브론슨 회장은 "젊은 세대가 앞장서서 행동하는 모습을 보면서 희망과 영감을 얻는다"며 "아직 희망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BSA는 1945년 알버트 아인슈타인을 비롯 원자폭탄을 개발한 과학자들을 주축으로 설립된 단체로, 1947년부터 매년 지구종말 시계를 발표해왔다. 냉전 중 수소폭탄이 개발된 1953년 밤 11시 58분을 기록했고 이후 탈냉전 기조가 만연하던  1990년대 는 17분전으로 늦춰졌다.

이후 지구종말 시계는 지금까지 자정을 향해 가까워지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