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올 9월 '역대 가장 더웠다'...예년 평균보다 2.1℃ 상승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0-06 11:03:05
  • -
  • +
  • 인쇄
▲지난달 1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양산을 쓴 시민이 산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반도의 올 9월은 역대 가장 더웠던 9월로 기록됐다.

6일 기상청 분석에 따르면 올 9월 전국 평균기온은 22.6℃를 기록했다. 예년 9월 평균보다 2.1℃가량 높은 것으로, 역대 가장 더웠던 1975년에 기록된 22.2℃를 0.4℃나 앞섰다.

9월의 전국 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도 각각 27.1℃와 19℃를 기록해 평년기온을 1.2℃와 2.9℃ 웃돌았다.

가장 큰 원인은 일조량의 증가다. 9월초순 대만쪽 바다에서 발달한 열대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대류활동이 활발해졌고, 이 영향으로 발달한 고기압이 한·중·일에 모두 영향을 미치면서 강한 햇살이 내리쬐는 날씨가 연일 이어졌다. 실제로 9월초순 일조시간은 81.7시간에 달했다. 

9월 중·하순에 이르면서 북태평양고기압은 예년보다 동중국해 쪽으로 세력을 더 넓혔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우리나라로 따뜻한 남서풍이 불어와서 더운 날씨가 이어졌다.

온난화 영향도 9월 기온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뜨거웠다. 지난 5일 유럽연합(EU)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기후변화서비스'(C3S)는 9월 지구 평균기온이 16.38℃로 관측 이래 최고기온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산업화(1850~1900년) 이전의 9월 평균기온과 비교해 1.75℃나 높았다.

산업화 이전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하로 억제하자는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 목표치를 월등히 넘어선 것이다.

한편 지난달 전국 강수량은 198.7㎜로 평년치(84.2~202.3㎜)와 비슷했다. 중순에 북태평양고기압과 차고 건조해 북태평양고기압과 성질이 반대인 대륙고기압 사이 저기압이 발달해 비가 많이 내렸으나 초순과 하순에는 고기압 영향에 비가 적게 내리면서 전체적으로 평년 수준 강수량이 기록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