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유가 이런 거였어?..."산림파괴 주범" 사용중단 촉구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1 16:54:57
  • -
  • +
  • 인쇄
재배과정 산림파괴·막대한 온실가스 배출
대책 마련해야 할 정부, 되레 기업에 지원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후솔루션 회원들이 팜유 사용이 지구를 뜨겁게 하고 있다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기후솔루션)


3월 21일 '세계 산림의 날'을 맞아 생태계 파괴와 온실가스 배출, 인권침해를 일으키는 팜유 사용중단을 촉구하는 퍼포먼스가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펼쳐졌다.

기후솔루션 회원들은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팜유 사용중단과 관련 정책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팜유가 지구를 뜨겁게 하고 있다는 의미를 담긴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기후솔루션은 "주요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팜유를 대규모 재배하면서 한국보다 넓은 면적의 산림이 파괴돼 생물다양성이 사라지고 막대한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있다"며 "여기에 토지강탈까지 이뤄지면서 토착민의 생계와 문화도 빼앗고 있다"며 사용중단을 촉구했다.

팜유는 보존과 가공이 쉬워 식품과 화장품, 세제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최근 바이오연료로도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팜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팜유 기반 바이오연료 사용중단에 합의하고 공급망 실사와 산림벌채 상품 규제법을 도입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여전히 팜유 확대를 용인하고 있어 기후솔루션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자료=기후솔루션)


기후솔루션은 보고서를 통해 2012년부터 팜유 수입이 증가한 원인이 기업이 친환경을 빌미로 바이오연료 사용을 확대하고 있고, 정부가 이를 용인해준 것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바이오연료용 인도네시아산 팜유 수입량은 10배 증가했다. 팜유가 산림파괴·인권침해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에도 정부는 2020년까지 기업들에게 총 800억원 이상의 팜유 융자를 지원해왔다.

(자료=기후솔루션)

기업들도 팜유 문제에 대해 아무런 대책이 없거나 '자발적 인증제'로 친환경을 주장하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식품·생활용품·바이오연료 주요 기업에 질의한 결과 인권·환경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팜유를 수입하는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고 밝혔다.

일례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12년부터 축구장 3만7000개 면적의 숲을 파괴해 국제적 비판을 받았으나 뒤늦게 'RSPO(지속가능 팜유산업 협의체)' 팜유 인증을 획득해 지속가능한 팜유를 생산한다고 홍보하고 있다. RSPO는 업계가 주도하는 인증제라 지속가능성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에 기후솔루션은 유럽의 사례를 참고삼아 우리 정부도 △기업의 공급망 실사 의무화 △산림파괴 상품 규제 △바이오연료 지속가능성을 도입 △산림파괴 사업에 공적금융 지원을 중단하고 △기업은 인권환경실사를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송한새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팜유로 만드는 바이오연료는 화석연료보다 3배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무분별한 양적 확대 정책으로 인해 친환경 에너지로 잘못 분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송 연구원은 "특히 정부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바이오연료 확대 계획은 문제가 되는 원료를 제외하고 청정에너지를 지원하는 지속가능성 인정기준이 빠져있다"며 "산림파괴 지원국이라는 오명이 국제사회에 굳혀지기전 기후위기를 재촉하는 가짜 재생에너지와 결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익법센터 어필 정신영 변호사는 "RSPO 인증을 받기 위해 기업이 고용하는 감사기관은 감사대상인 기업에 재정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수많은 인권, 환경 문제에 눈감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며 "RSPO 인증이 지속가능한 팜유를 의미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이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고 일침했다. 이에 "기업은 인증제에 의존하면 안되며, 자사의 공급망 전반에서 책임을 지고 실사를 이행하게 하는 인권환경실사법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정 변호사는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제약 임직원, 청주 미호강서 플로깅 캠페인 진행

셀트리온제약은 28일 충북 청주 미호강에서 플로깅(Plogging) 캠페인 '셀로킹 데이(CELLogging Day)'를 진행했다고 밝혔다.플로깅은 '이삭을 줍다' 뜻의 스웨덴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자사주 없애기 시작한 LG...8개 상장사 "기업가치 높이겠다"

LG그룹 8개 계열사가 자사주 소각, 추가 주주환원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계획을 28일 일제히 발표했다. 이날 LG그룹은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

쿠팡, 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확대 나선다

쿠팡이 중증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을 확대한다.쿠팡은 한국장애인개발원,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과 중증장애인 e스포츠 직무모델 개발과 고용 활성

[ESG;스코어] 공공기관 온실가스 감축실적 1위는 'HUG'...꼴찌는 어디?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보령시시설관리공단·목포해양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IBS)

LG전자 신임 CEO에 류재철 사장...가전R&D서 잔뼈 굵은 경영자

LG전자 조주완 최고경영자(CEO)가 용퇴하고 신임 CEO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이 선임됐다.LG전자는 2026년 임원인사에서 생활가전 글로벌 1위를 이끈

기후/환경

+

'CCU 메가프로젝트' 보령·포항만 예타 통과...5년간 3806억 투입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탄소포집·활용(CCU) 실증사업 부지 5곳 가운데 2곳만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쓰레기 시멘트' 논란 18년만에...정부, 시멘트 안전성 조사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폐기물이 활용됨에 따라, 정부가 소비자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시멘트 안전성 조사에 착수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환경단체,

해변 미세플라스틱 농도 태풍 후 40배 늘었다...원인은?

폭염이나 홍수같은 기후재난이 미세플라스틱을 더 퍼트리면서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7일(현지시간) 프랭크 켈리 영국 임페리얼 칼리

잠기고 무너지고...인니 수마트라 홍수와 산사태로 '아비규환'

몬순에 접어든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들이 홍수와 산사태로 역대급 피해가 발생했다.28일(현지시간) 가디언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수마트라섬에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주말날씨] 11월 마지막날 '온화'...12월 되면 '기온 뚝'

11월의 마지막 주말 날씨는 비교적 온화하겠다. 일부 지역에는 비나 서리가 내려 새벽 빙판이나 살얼음을 조심해야겠다.오는 29∼30일에는 우리나라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