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 기후위기 책임 52%..."천연자원 펑펑 쓴 결과"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4-08 18:03:39
  • -
  • +
  • 인쇄
지구생태적 피해 책임 분석한 최초의 보고서
부유한 국가들의 책임 74%...빈곤국 책임 8%

지구 생태계 붕괴를 초래한 원인은 그동안 천연자원을 남용한 미국과 유럽 등 세계 강대국들에게 절대적 책임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환경과학기술연구소(ICTA-UAB)의 제이슨 히켈(Jason Hickel) 교수와 영국 리즈대학교의 다니엘 오닐, 앤드류 패닝 박사 연구팀은 기후변화 등 지구의 생태적 피해에 대해 국가별 책임을 분석한 연구보고서를 '란셋플래네터리헬스(Lancet Planetary Health) 학술지'에 1일 게재했다. 이는 지난 50년동안 160개국에서 발생한 생태적 피해를 분석하고 국가별로 책임을 부여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오늘날 기후변화 등 세계 생태적 피해는 지난 반세기동안 지구의 천연자원을 마구 사용한 미국과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등 전세계 부자나라들의 책임이 74%라고 분석했다.

이 가운데 미국의 책임은 27%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연합(EU)의 책임은 25%이고, 호주와 캐나다,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등 기타 부유한 국가들의 책임은 22%였다. 중국의 책임은 15%로, 지속가능성 한도를 초과했다. 이에 반해 지구 남반구 빈곤국들의 책임은 8%에 불과했다. 결국 부자나라들이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 반세기동안 지구에서 채굴된 천연자원 약 2.5조톤 가운데 44%가 강대국들에 의해 남용됐다. 같은기간 인도와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방글라데시 등 58개국은 지속가능성 한계치를 유지했다.


▲1970-2017년 국가별 초과 자원사용 책임(자료=란셋플래네터리헬스)


연구진은 UN국제자원위원회 데이터를 사용해 화석연료, 목재, 금속, 광물 및 바이오매스 등 세계 주요 무역자재의 흐름 및 생산추이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국가별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전세계 지속가능한 자원사용 수준을 분배한 다음 국가의 실제 자원사용에서 이 몫을 빼 1970~2017년 생태적 초과분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호주는 1인당 오버슈트 톤(tonnes of overshoot per capita)에서 29.16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캐나다가 25.82, 미국이 23.45로 그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고소득 국가는 지구생태계 붕괴를 초래하는 자원사용을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시급히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나머지 국가들에게 생태학적 부채를 지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의 악화를 막으려면 자원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탈성장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1970-2017년 국가별 1인당 연평균 오버슈트(자료=란셋플래네터리헬스)


연구의 주요저자인 제이슨 히켈 교수는 "고소득 국가들이 자원을 남용하는 규모는 가히 충격적"이라며 "지속가능한 수준을 달성하려면 자원 사용을 70% 정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영국과 미국 등 부유한 국가들이 국내총생산(GDP) 위주의 성장목표를 중단하고 인간복지 지원 및 불평등 해소를 중심으로 경제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했다.

케이트 라워스(Kate Raworth) 영국 옥스포드대학 환경변화연구소 소속 경제학자는 "이번 연구는 글로벌 책임의 새로운 시대를 연 것"이라며 "지구의 생명유지시스템을 파괴한 세계 강대국들의 책임은 부인할 수 없으며 이는 최악의 피해자들에게 의미있게 배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초 제6차 IPCC 보고서는 히켈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탈성장 전략이 탄소배출을 감축하고 사회적 변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주초 발표된 IPCC 3차 보고서에서도 탈성장 경로가 사회적 발전과 기술적 전략을 결합하는 데 중요하다고 전했다.

다만 앤드류 패닝(Andrew Fanning) 박사는 "부유국가의 모든 사람들이 생태적 붕괴에 똑같이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그는 성장의존도를 줄이는 것은 국가간 불평등의 해소뿐 아니라 국가내 불평등 완화를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젬마 크랜스톤(Gemma Cranston) 캠브리지 지속가능성 리더십연구소(Cambridge Institute for Sustainability Leadership) 박사는 탈성장에 있어 "기업 부문의 패러다임 및 소비패턴의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국가와 기업 모두 단순히 영향을 줄이는 것 이상으로 재생 및 회복적인 접근방식을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기후/환경

+

[영상] 순식간에 9m 불어난 강…美텍사스 '대홍수' 참사

미국 텍사스주가 돌발홍수로 쑥대밭이 됐다. 폭우에 가뭄으로 말랐던 강 수위는 90분만에 9m까지 치솟았고, 인근 저지대에서 야영하던 사람들은 순식간

'日 대지진' 예언날짜 지났지만...여전히 불안한 주민들 '탈출러시'

'일본 대지진'이 일어날 것으로 예언된 7월 5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일본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를 중심으로 지진이 이어지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대피

폭염을 이기지 못한 아스팔트...아이스크림처럼 '흐물흐물'

폭염을 이기지 못하고 도로 아스팔트가 녹아내리는 일까지 벌어졌다.지난 4일 뉴스1에 따르면 울산 북구 농소초등학교 앞 버스정류장 근처에서 도로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