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다이어트' 했더니...석달새 쓰레기 40% 줄었다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2 12:27:30
  • -
  • +
  • 인쇄
서울시 164가구 쓰레기 배출량 비교결과 발표
다인가구보다 1인가구 쓰레기 감량이 2배이상
▲'쓰레기 다이어트' 참가자들의 천 장바구니(좌)와 쓰레기 배출량 무게측정하는 모습 (사진=서울시)


3개월간 '쓰레기 다이어트'에 참가한 가구들의 생활쓰레기 배출량이 40%나 줄어들었다.

서울시가 지난해 9월~11월까지 시민실천 프로그램 '쓰레기 다이어트'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164가구의 쓰레기 배출량을 조사해보니 11월 기준 1인당 평균 종량제 생활쓰레기(재활용품 제외) 배출량이 9월보다 4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게로 따지면 5.81kg에서 3.44kg으로 줄었다.

1인가구의 쓰레기 감량은 4인가구보다 2배 이상 많았다. 1인당 감량한 쓰레기 총량을 측정한 결과, 1인가구 5.86kg, 2인가구 4.85kg, 3인가구 3.89kg, 4인가구 2.76kg 순이었다.

1인당 재활용품 분리 배출량(종이‧비닐‧플라스틱‧스티로폼)도 쓰레기 총량이 줄면서 31.41%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종이가 3.55kg→2.35kg로 가장 많이 줄었고, 뒤이어 플라스틱(1.73kg→1.09kg), 비닐(0.64kg→0.56kg), 스티로폼(0.37kg→0.31kg) 순이었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종량제 vs 재활용품' 배출 감소율을 비교분석해보면, 다인가구는 1~2% 차이로 비슷한 반면, 1인가구는 종량제 감소율(48.77%)이 재활용품(24.89%)의 약 2배였다. 이는 기존에 종량제봉투에 버리던 쓰레기를 재활용품으로 분리 배출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쓰레기 배출량 감소율은 2인가구(종량제 38.7%, 재활용품 36.8%), 3인가구(종량제 37.98%, 재활용품 36.99%), 4인가구(종량제 32.76%, 재활용품 31.47%)이다.

참여 가구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전반적으로 쓰레기 배출량은 줄이는데 성공했지만 1회용품 배출을 줄이기 어려웠다는 의견이 많았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텀블러‧다회용기 사용 등으로 줄이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지만, 종이‧비닐‧스티로폼은 택배용 수송 포장재, 과대 포장 등으로 인해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줄이기 어려웠다는 의견이 공통적으로 많았다.

정미선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1회용품 사용에 대한 경각심이 완화되면서 생활 쓰레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의 일상속 쓰레기 감량 실천이 확산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LS그룹, 41년째 '무사고·무재해' 비결은?

LS가 2021년부터 ESG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위원회는 ESG 방향성 정립과 정책 변화 대응,

AI로 탄소배출 '폭등'…빅테크 '넷제로' 목표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구글과 아마존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급증하면서, 이들이 공언해온 '넷제로' 목표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기후

Z세대, 기업 ESG활동에 민감...67% "비싸도 ESG 실천기업 제품 구매"

Z세대는 개인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하는 이른바 '미닝아웃(가치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공개한 'ESG 경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기후/환경

+

급류에 마을이 통째로 휩쓸려...히말라야 산간마을 '돌발홍수'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간마을에 갑자기 홍수가 발생했다.6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북부 우타라칸드주 히말라야 인

'괴물폭우' 예보됐는데…'띠모양 비구름대'로 기상 예측불허

'괴물폭우'가 내린다던 예보와 달리 서울 도심에는 새벽에 잠깐 강한 비가 내리다가 그쳤다. 반면 수도권과 가까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는 시간당 3

[르포]사과 5알에 1만6000원?...폭염·폭우에 과일·채솟값 '껑충'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치솟은 물가는 6일 뉴스트리 취재진이 찾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마트에서도 고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