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thumbimg

히말라야 빙하, 2100년까지 80% 사라진다
▲인도 히마찰프라데시주의 히말라야 산맥 (사진=언스플래시) 아시아 힌두쿠시 지역 히말라야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2100년까지 75~80%가 사라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네팔 카트만두에 위치한 국제산악종합개발센터(ICIMOD) 연구팀은 에베레스트를 비롯한 히...2023-06-20 17:08:18 [김나윤]

thumbimg

"이사 오면 1억 드려요"....인구보전 특단대책 내놓은 '이곳'
▲아일랜드의 섬 (사진=연합뉴스) 아일랜드가 섬의 인구가 급감하자 인구 보전을 위해 이주자에게 1억원씩 지급하겠다는 파격 정책까지 내놨다.19일(현지시간) 미국 CBS는 아일랜드 본토밖 약 30개 섬에 주택을 구입해 이주하는 사람들에게 최고 9만2000달러(약...2023-06-20 16:11:34 [김나윤]

thumbimg

100명의 경제학자들 "기후위기 막으려면 부유세 필수"
100명이 넘는 전세계 경제학자들이 극빈층에 대한 기후피해 비용을 지불하려면 극부유층에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탈성장주의 학자로 잘 알려진 제이슨 힉켈(Jason Hickel) 스페인 바르셀로나자치대학(Universitad Aut&oacu...2023-06-20 11:45:50 [이준성]

thumbimg

번번이 불발됐던 '공해보호' 국제조약...첫 단추 꿰었다
어떤 국가의 관할에도 속하지 않아 생태계 보전의 사각지대였던 공해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조약이 마련됐다.19일(현지시간) 유엔경제사회이사회는 국가 관할권을 넘어선 생물다양성에 관한 조약(UN Treaty on Biodiversity Beyond National...2023-06-20 11:08:47 [이준성]

thumbimg

탑승비가 무려 3억4000만원...타이타닉 관광잠수정 실종
▲2019년 애틀랜틱 프로덕션이 공개한 바닷속 타이타닉호 모습 (사진=연합뉴스) 110년전 바다에 가라앉은 여객선 '타이타닉호' 선체를 구경할 수 있는 관광잠수정이 대서양에서 실종됐다.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포스트와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보스턴 해안경...2023-06-20 10:31:18 [김나윤]

thumbimg

가뭄에 바닥 드러낸 멕시코강...16세기 성당도 함께 드러났다
▲가뭄으로 완전한 모습을 드러낸 멕시코 '케출라 사원' (사진=연합뉴스/AFP) 멕시코 남부 그리할바 강이 가뭄으로 바닥을 드러내면서 그동안 물속에 잠겨있던 16세기 성당이 60년만에 제모습을 드러냈다.19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 최남단 ...2023-06-19 17:51:49 [이재은]

thumbimg

"현재 금융지원 방식으로 기후위기 못막는다" 경제학자의 일침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개발도상국에 수조달러를 투자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후 취약국에 대한 원조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18일(현지시간) 영국 그레셤대학교(Gresham College)의 아비나시 페르소드(Avinash Persaud...2023-06-19 16:14:25 [이준성]

thumbimg

스위스 '기후법' 가결...법인세 11→15% 인상 "전환기금 마련 탄력"
▲스위스 산간 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 16일(현지시간) 오전 스위스 그라우뷘덴주 브리엔츠 마을에서는 지반이 흔들리던 인근 산의 암석 덩어리가 부서져 내려오면서 마을 입구 직전까지 돌덩이와 토사가 흘러내렸다. 기후변화로 빙하가 줄어들고 지반이 불안정해지면서 산사태 ...2023-06-19 14:33:43 [이재은]

thumbimg

멕시코 연안 바닷새 수백마리 떼죽음...원인은 '엘니뇨' 지목
▲연안에서 아사한 바닷새 사체를 들고 있는 멕시코 멕시코 농식품위생품질청 검역관 (사진=멕시코 농업농촌개발부) 멕시코에서 바닷새 수백마리가 떼죽음을 당한 가운데 지역당국이 원인으로 '엘니뇨'를 지목했다.15일(현지시간) 멕시코 농업농촌개발부는 지난 주말 사이 ...2023-06-16 19:06:20 [이재은]

thumbimg

아프리카 서식하던 철새 영국에 '둥지'…"기후변화로 인한 생태 변화"
▲아프리카 철새 유럽벌잡이새(사진=영국왕립조류보호협회 홈페이지 캡처) 기후변화로 인해 북반구 여름철 기온이 평균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아프리카에 서식하던 철새가 영국에 자리를 잡은 사례가 발견됐다.1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와 왕립조류보호협회(RSP...2023-06-16 15:39:12 [조인준]

thumbimg

지구를 망치는 국가보조금...세계은행 "잘못된 곳에 쏟아붓고 있다"
▲해독적 개발(Detox Development) 표지 (출처=세계은행) 화석연료, 농업 및 어업에 대한 수조달러의 보조금이 '환경적 혼란'을 야기해 사람과 지구에 심각한 해를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다.15일(현지시간) 세계은행(World Bank)이 발표한 보고...2023-06-16 13:30:02 [이준성]

thumbimg

6월 지구온도 무섭게 상승중..."역대급 고온현상 발생한다"
6월 현재 지구의 기온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어, 2023년은 역대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될 가능성이 커졌다.유럽연합(EU) 기상관측기관 코페르니쿠스(EU Copernicus Land Monitoring Service)에 따르면 6월 현재까지 측정된 ...2023-06-16 10:26:14 [이준성]

Video

+

ESG

+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SK온-SK엔무브 합병결의..."8조 자본확충해 사업·재무 리밸런싱"

SK온과 SK엔무브가 11월 1일자로 합병한다. 지난 2월 SK온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한지 6개월만에 또다시 덩치를 키운다.SK이노베이션과 SK

기후/환경

+

주거지·학교 인근서 유해가스 '뿜뿜'...불법배출 업체 10곳 적발

주거지와 학교 인근에서 유해가스를 불법 배출한 업체들이 적발됐다.경기도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도장·인쇄업체 210개를 대상으로 유

올 7월 한반도 평균기온 27.1℃...'역대 두번째로 더웠다'

우리나라의 올 7월은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더웠다.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로 나타났다. '20세기 최악의 더위'가 나타난

[날씨] '폭염과 폭우' 급변하는 날씨...6일 120㎜ 폭우 예보

5일 낮기온이 36℃까지 치솟는 폭염이었다가 수요일인 6일은 최대 120㎜의 폭우가 퍼붓는 종잡을 수 없는 날씨를 보이겠다.고온다습한 남풍의 유입으로

600년간 조용하던 러 캄차카 화산 분화…7.0 강진의 영향?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에서 규모 7.0 강진이 발생한 직후 600년동안 잠들어 있던 화산이 분화했다. 4일(현지시간) 새벽, 캄차카 크라셰닌니코프화산에

英 바클레이스도 '넷제로 연합' 탈퇴…글로벌 은행연합 '와해 가속'

영국계 대형은행 바클레이스가 1일(현지시간) '넷제로은행연합(Net-Zero Banking Alliance, NZBA)' 탈퇴를 공식 선언했다. 지난달 HSBC에 이어 영국 은행 중 두 번

따뜻해진 바닷물...해수욕장마다 독성 해파리 '득실득실'

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면서 연안 바다마다 해파리가 득실거리고 있다. 이 때문에 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을 찾은 사람들의 피해가 끊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