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훼손 종식 국제선언 '무색'...지난해 훼손면적 4% 늘었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5 12:22:07
  • -
  • +
  • 인쇄
뉴욕산림선언 2023 산림평가보고서
660만㏊ 파괴..."스리랑카 국토면적"

산림훼손 종식 선언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산림벌채가 되레 4% 늘면서 전세계 숲 660만헥타르(㏊)가 사라졌다.

기업·정부기관·시민단체 200여곳의 연합체인 뉴욕산림선언(NYDF)이 24일(현지시간) 발간한 '2023 산림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전세계적으로 660만㏊ 면적의 산림이 파괴됐다. 이는 남한 국토면적의 65% 규모로, 스리랑카 국토면적(656만1000㏊)과 맞먹는다.

지난 2021년 전세계 145개국은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2030년까지 산림훼손을 종식하고, 해당 시점부터는 산림 복구 비율이 훼손 비율을 넘어설 수 있도록 '산림 및 토지 이용에 관한 글래스고 정상선언'을 채택한 바 있다. 그러나 NYDF가 기준점으로 삼은 2018~2020년 산림 벌채 및 황폐화 비율에 비췄을 때 지난해 산림 파괴율은 오히려 4% 늘었다. 2030년까지 매년 줄여야 하는 연간 잠정목표치에 21% 미달되는 수준이다.

열대우림의 훼손 정도가 가장 심각하다. 지난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등 주요 열대우림은 기준점보다 6% 늘어난 410만㏊의 산림이 훼손됐다. 이는 산림 벌채 축소를 위한 연간 잠정목표치에 33% 밑도는 수치다.

지난해 산림 벌채가 더 늘어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40억톤으로 2021년보다 6% 늘었다.

매년 22억달러(2조9616억원) 공공기금이 산림 복원을 위해 쓰이고 있지만, 여타 투자사업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실제로 영국 프리미어리그 소속 프로축구단 토트넘 홋스퍼 FC의 런던 홈경기장을 짓는데 11억달러가 투입됐고, 스페인 라리가 소속 프로축구단 FC 바르셀로나의 캄노우 경기장을 짓는 데 16억달러가 투입됐다.

보고서의 주요 저자이자 컨설팅기업 클라이밋포커스(Climate Focus)의 선임고문 에린 맷슨은 "산림 훼손을 중지하고, 보존을 위한 자금조달을 아끼지 않겠다는 약속들이 벌써부터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2022년이 목표치를 따라잡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음에도 각국 지도자들이 계속해서 발부리에 걸려 넘어지고 있어 산림 벌채 대응을 위한 변곡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2035 NDC' 감축목표 53%? 67%?...환경부, 이달내 2개로 압축

정부가 이달 내로 '202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해 복수의 안을 국회에 제시한다.환경부는 8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현재 각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