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세미나] 김종대 교수 "순환경제로의 전환, 녹색금융 조달이 우선돼야"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8 14:48:18
  • -
  • +
  • 인쇄
▲김종대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교수가 28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녹색금융&ESG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newstree

김종대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경제가 성장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는 커플링 이슈(Coupling Issue)는 실현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종대 인하대 교수 겸 SDG연구소장은 28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인하대학교 녹색금융대학원과 지속가능경영연구소가 주최하고 뉴스트리와 SDG연구소가 주관한 '녹색금융&ESG세미나'에서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녹색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플라스틱 오염이 장기적으로는 결국 기업과 사회의 비용을 높이고 경쟁력을 약화한다"며 "커플링 이슈를 해결하지 못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도태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기후위기, 자원순환, 생물다양성 보전 3가지가 융합된 '삼중 환경문제'(Triple Evironment Issue)가 대두되고 있다. 이 3가지 문제는 서로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이며, 세 가지 문제에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시장의 강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일반적으로 아는 녹색금융 시장은 대부분 기후금융"이라며 "기후금융 관련 상품은 이미 시장에 다양하게 나와 있으며 자연금융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는 순환금융 시장도 빠르게 확산되고 금융수단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선형경제 구조에 머물러 있는 국내 경제를 빠르게 순환경제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순환경제는 자원추출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농업용지를 재탄생시켜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며 산업 전반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김 교수는 내다봤다.

김 교수는 "순환경제에 있어 실무보다 금융이 중요하다"면서 "일반적으로 환경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금융시장에서 자금이 조달되지 않으면 기술개발 자체가 불가능한 게 현실"이라며 "자금이 지원돼야 기술발전이 원활해지므로 순환경제 전환에 있어 녹색금융의 역할은 그만큼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철강과 알루미늄, 시멘트, 플라스틱 및 식품 등 5개 산업분야만 순환경제로 전환시켜도 전세계 운송분야의 탄소배출량과 맞먹는 탄소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5개 분야만 순환경제로 전환하면 2050년 93억톤의 탄소를 저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종대 교수는 "환경규제는 불가피하다"면서 "그러나 규제는 효율적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 기업과 기관의 파트너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짚었다. 즉 기업들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된다 안된다의 이슈가 아닌, 가능한 넷제로에 가깝게 접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