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용 아닌데 굳이 튀기고 끓이고...'녹말 이쑤시개' 먹방 유행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3 12:09:55
  • -
  • +
  • 인쇄
▲SNS에 '녹말 이쑤시개 튀김'을 검색하면 나오는 다수의 관련 영상들 (사진=유튜브 쇼츠 갈무리)


'녹말 이쑤시개'를 기름에 튀겨 소스를 뿌려먹는 먹방이 최근 온라인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어 전문가들이 우려를 나타냈다.

23일 현재 소셜서비스(SNS)에 올라와 있는 수백건의 '녹말 이쑤시개' 영상들은 수백개에서 수천개의 '좋아요'를 받고 있을 정도로 녹말 이쑤시개 먹방은 인기를 끌고 있다.

영상의 대부분은 '녹말 이쑤시개'에 대한 요리법을 설명하고 있다. 녹말 이쑤시개를 기름에 튀기면 바삭해져 과자처럼 먹을 수 있다거나, 녹말 이쑤시개를 튀긴 뒤 비빔면 소스나 체다치즈 소스 등을 부어먹는 것을 시연하고 있다. 녹말 이쑤시개를 라면처럼 끓어먹는 모습도 있다.

영상을 접한 누리꾼들은 "궁금했는데 너무 신박하다", "이게 되네?" 등의 관심을 보이는 반면 "굳이 먹지 말라는 걸 왜 먹는 걸까"라는 의아한 반응도 보이고 있다. 

녹말 이쑤시개는 옥수수 전분에 식용색소를 첨가해 만들어져 먹어도 해롭지는 않다. 방부제나 표백제도 들어있지 않다. 제품 설명에는 '사용후 자연분해되는 녹말로 만든 무공해 자연제품'이라는 글귀가 쓰여있다.

그러나 식품용으로 만든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섭취를 권장하지 않고 있다. 녹말 이쑤시개는 식품이 아닌 위생용품·일회용품 제조기준에 맞춰져 있다. 위생용품은 식품에 비해 중금속, 유해원소 등 용출규격 기준치가 더 느슨하다. 이 때문에 녹말 이쑤시개 포장에 '인체에는 무해하나 드시지 마십시오', '용도 외에 사용하지 마십시오'라고 써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성분만 놓고 보면 튀기거나 끓여먹더라도 상관 없겠지만 녹말 이쑤시개는 위생용품·일회용품 제조기준에 맞춰 만들어진다"며 "먹는 용도로는 생각하지 않는 게 좋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색깔로 위험인지'...CJ제일제당, 안전예방 위해 '색채 디자인' 적용

CJ제일제당이 안전한 일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업장과 물류센터에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CJ제일제당은 이를 위해 지난 3일 서울 서초

[최남수의 ESG풍향계] '독립이사'로 명칭 바뀌면 '거수기' 벗어날까?

상법 개정안이 지난 7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데 이어 공포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 감사위원의

카카오임팩트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9월 4일부터 3일간 기후기술 회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기후기술과 AI, 미래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기후/환경

+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2035 NDC' 감축목표 53%? 67%?...환경부, 이달내 2개로 압축

정부가 이달 내로 '202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해 복수의 안을 국회에 제시한다.환경부는 8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현재 각계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최악 가뭄' 강릉 저수율 12.6%...평창 도암댐 물 활용논의

강원 강릉이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연일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상수원은 계속해서 말라붙고 있다.강릉의 오봉저수지의 저수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