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중점학교' 2배 늘려놓고 지원예산은 '반토막'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08 09:47:25
  • -
  • +
  • 인쇄
선정된 40개교 가운데 환경교과목 선택학교는 2곳
환경교사 없이 환경교육...모범모델 구축취지 '무색'
*이 사진은 기사와 관련이 없습니다.

미래세대의 기후변화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선정하는 '탄소중립 중점학교'의 수가 지난해보다 2배 늘었지만 지원금은 오히려 쪼그라들었다.

교육부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산림청, 기상청 등 6개 관계부처는 올 3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총 40개교를 '탄소중립 중점학교'를 선정한 바 있다.

'탄소중립 중점학교'는 미래세대의 기후변화·환경위기 대응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실천을 학교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취지로 지난 2021년부터 시작된 정부 추진사업이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학교는 기후위기와 생태전환 교육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기간은 1년 정도지만 연속 지원이 가능하다.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환경교육의 모범적인 학교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일반 학교와 지역사회로 탄소중립 실천문화를 확산시키겠다는 목적이다.

탄소중립 중점학교는 2021년 5개교를 선정하는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20개교로 확대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2배 늘어난 40개교를 선정했지만 지원예산은 오히려 줄였다. 지난해 지원예산은 20억원이었는데 비해 올해는 12억원으로 거의 반토막이 났다. 그런데 학교수를 2배로 늘리다보니 학교당 지원금은 지난해 절반에도 못미친다.

2021년 학교당 1억5000만원씩 지급했던 지원금은 현재 1500~3500만원 수준으로 줄었다. 올해 '탄소중립 중점학교' 40개교 가운데 신규로 선정된 30개 학교는 각 3500만원씩 지원받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선정된 10개 선도학교는 1500만원씩 받았다. 지난해 학교당 1억원씩 지원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수준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사업취지에 맞게 지원하는 학교수를 늘리면서 지원금이 줄어들었다"면서 "앞으로도 환경교육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전환을 위해 사업범위를 더욱 확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원금 총액이 감소한 것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환경교육의 모범적인 학교모델을 구축하겠다는 정부 취지와 달리, 교육내용이 부실화될 우려도 엿보였다. 중점학교로 선정된 40개교 가운데 환경교과를 선택해 환경수업을 진행하는 중·고교는 달랑 2곳뿐이었다. 중점학교가 환경교육을 반드시 정규수업으로 진행할 필요는 없지만, 지원사업이 완료된 이후에 학교 차원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당초 취지에 어긋나는 단발성 교육에 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업수행에 대한 관리·감독이 소홀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업계 한 관계자는 "선정된 학교에서 실제로 환경교육이 개선되고 있는지 별도의 감사도 없고, 성과 보고로만 끝난다"면서 "선정되면 나머지는 학교 자율이기 때문에 지원금을 학교시설을 정비하는데 사용해도 파악할 길이 없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탄소중립 중점학교에 대한 별도 감사는 진행하지 않는다. 대신 중간점검을 통해 진행과정과 중간평가를 하고 성과가 안좋을시 교육부에서 컨설팅을 해줄 예정이다. 그러나 성과가 안좋거나 학업계획서와 달리 환경교육을 소홀히 한다 해도 이를 규제할 마땅한 수단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탄소중립 중점학교 사업을 맡게 된 학교 담당자들의 고충도 있다. 일선학교의 한 교사는 "환경교육을 전공했거나 관심있는 교사가 먼저 나서서 공모를 진행한 경우도 있지만 교장·교감 등 윗선에서 흥미를 가져 공모한 경우도 있을 것"이라며 "누군가는 담당해야 하는데 담당자에게 전공 지식과 열정이 없다면 지원 사업 취지를 잃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탄소중립 중점학교 사업 담당자 대부분은 과학, 환경 등 관련 과목 교사가 맡았지만 수학이나 역사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 교사는 이어 "워크샵 등 담당교사의 역량강화 프로그램도 있지만 교사들마다 온도차가 나는 건 어쩔 수 없다"며 "모든 학교가 각자 노력하고 있지만 환경과목 의무화 등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아, 전기 PBV 'PV5' 택배차량으로 본격 공급한다

내연기관 중심의 택배 차량들이 친환경 전기차량으로 전환된다. 기아는 자사의 친환경 전동화 모델인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

기후/환경

+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목표만 있고 시간표는 없는 NDC...연도별 감축 로드맵 의무화해야"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모두 연도별 감축경로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

AI로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 찾아준다

인공지능(AI)이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을 찾아내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와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1.5°C 목표 실패...아마존이 사바나될 것"...유엔 사무총장의 경고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지난 2015년 파리에서 전세계 정상들이 모여 합의한 '지구평균기온 1.5℃ 억제하자'는 목표는 이미 실패로 돌아갔다는 판단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