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 플라스틱은 분해되려면 60℃ 이상 고온에서 6개월 이상이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전문설비가 없기 때문에 친환경이 아닙니다."
'생분해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오염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당차게 대답하는 중학생. 서울 마포구 숭문중학교에서 진행된 환경수업 참가학생들의 눈빛은 자못 진지했다. 이 학교는 1, 2학년을 대상으로 1주일에 1번씩 환경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날 수업의 주제는 '서울시의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법과 문제점'이었다.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양이 얼마나 되고, 이 가운데 매립·소각되는 양은 얼마인지,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직접 탐색하는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학생들은 수업을 위해 지급받은 단말기로 내용을 검색하고 정리했다. 이를 토대로 문제해결을 위한 실천방안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도 가졌다.
학생들이 제시하는 해결책은 제각각이었다.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비닐 대신 장바구니를 이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비롯해서 포장재를 사용하지 않는 리필스테이션과 제로웨이스트샵 이용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물론 플라스틱없는 세상을 위해 이를 실천하는 사람들도 이미 많지만, 중학생들이 입에서 실천 방식이 나왔다는 것 자체가 가지는 의미는 적지않다는 게 수업을 진행한 신경준 교사의 말이다.
신경준 숭문중학교 환경교사는 "환경수업 특성상 교과서 위주의 교육만으로는 효과가 별로 없다"며 "시시각각 변하는 정보를 학생들에게 직접 찾아보도록 하고, 찾아낸 정보를 통해 문제의식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보탐색을 통해 본인이 인지한 문제에 대해 스스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 환경교육이 수업에서만 그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이 생활속 실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수업이 끝나도 생활속에서 교육이 이어질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일례로 칠판 한 구석에 이날 배운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으로 다음 수업시간까지 한 주동안 페트병 생수를 줄이고 폐안경을 기부해보는 활동 숙제가 적혀있었다. 학생들은 페트병 생수를 줄인 양을 포인트로 계산해 동아프리카 식수 위기 지원단체에 후원할 계획이다.
환경수업은 다른 교과목과 다르게 시험도 수행평가도 없다. 신 교사는 "정답이 없는 과목인 만큼 시험 점수로 등수를 매기면 오히려 교육 취지가 퇴색된다"며 "수업을 받으면서 플로깅, 환경단체봉사 등 직접 참여하는 활동이 생활기록부에 남는 정도"라고 말했다.
시험점수에 반영되지 않는 교과목이어서 자칫 홀대받는 것이 아닐까 하는 우려도 생겼다. 이에 대해 신 교사는 "그렇게 되지 않도록 흥미로운 수업을 짜는 것이 환경교사의 숙제"라고 했다. 교사의 설명을 일방적으로 듣는 수업에 비해 지루하지 않아서일까. 실제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태도는 적극적인 모습이었다. 시험도 없는데 왜 이렇게 열심히 수업을 듣느냐는 질문에 한 학생은 "환경문제는 결국 우리가 직면할 문제"라며 "몰랐으면 관심도 없었겠지만 배우고 나니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라고 답했다.
3학년 박시우 학생은 지난해 환경수업을 받은 이후 거리에서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에 참여하고, 여기서 수거한 쓰레기를 팔아 모은 수익금을 환경단체에 기부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박시우 학생은 "환경교육을 받은 다음부터 환경에 관심이 생겨 이런 활동을 하고 있다"면서 "지난해까지 혼자 활동했는데 올해는 환경수업을 받은 친구들과 함께 교내 플로깅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학교에서도 환경교육이 이뤄져 함께 환경문제를 해결할 친구들이 늘어났으면 좋겠다"라는 바람도 드러냈다.
선진 각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을 하고 있다. 프랑스는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주당 2시간씩 의무교육을 하고 있고, 이탈리아는 모든 공립학교에서 매주 1시간씩 기후변화 관련 수업을 한다. 학생 10명당 환경전문교사 1명을 배치한 핀란드는 초·중학교에서 환경교과가 의무화돼 있고,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2차 교육에서 생물·지리·물리·화학 등 고등과학을 배우려면 환경교과를 9학점 이수해야 한다.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 환경교육은 걸음마 단계다. 환경교과목을 채택한 중·고등학교는 전국 5631개교 가운데 875개교로 15.5%에 불과하고, 환경전문교사는 고작 49명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본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고등학교 환경수업의 70%는 3학년 수업으로 배정해놓고 사실상 자습시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환경부와 교육부는 환경교과목을 늘리기보다 다른 교과에 환경교육 내용을 접목시킨 '교과 연계형 환경교육(융합교육)'을 지원하는데 더 집중하는 모습이다. 우리나라 교육환경이 대학입시를 최우선으로 간주하다보니 시험과 무관한 환경교과목이 찬밥신세로 내몰리는 것이다.
그러나 융합교육은 환경교과목을 대체하기엔 부족한 게 사실이다. 교과와 연계하는 융합교육 자체가 일선 학교와 교사들의 재량에 맡기고 있어서, 교육의 질이 제각각일 우려도 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아무리 역량있는 교사라도 환경전문가가 아닌이상 콘텐츠 개발에 한계가 있다"라고 꼬집었다. 한 과학 교사는 교과 내용 가운데 '생태와 환경'이 있어 이를 교육하는 것으로 환경교육을 한 셈으로 치기도 했다. 또 교과 진도를 나가야 하기 때문에 매 수업마다 융합교육을 진행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외부강사 초빙도 쉽지않다. 울산 성신고등학교의 한 교사는 "환경을 가르쳐줄 외부강사 수가 부족해 시간을 맞추기 어려운 점이 많다"면서 "어렵게 환경전문가를 모셔와서 강의를 진행해도 지식을 전달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교육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라고 털어놨다.
신경준 환경교사는 "융합교육을 안하는 것보다 하는 것이 낫지만 환경 전반을 교육하기엔 역부족"이라며 "매주 환경수업을 진행하는 나조차 환경의 모든 것을 가르쳤다고 보기 어려운데 정기적인 수업도 없이 가르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환경교육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선진국의 기후행동에 무임승차할 게 아니라면 이제는 누구나 학교에서 환경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