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쓰레기통 뒤진 독수리...플라스틱까지 먹었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2 17:58:56
  • -
  • +
  • 인쇄
홰 밑 토사물 60%서 플라스틱 검출
도심·음식점 가까울수록 비중 높아

도시 주변에 서식하는 독수리들이 식당에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뒤지면서 플라스틱 오염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지리·지구과학과 부교수 새러 가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독수리가 앉은 홰 아래 토사물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서식지가 도시에 가까울수록 플라스틱을 함유한 토사물 덩어리 비중이 크게 늘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인구 290만 대도시 샬럿 주변에서 약 20∼500마리씩 모여있는 검은대머리수리(Coragyps atratus)와 터키콘도르(Cathartes aura)의 홰 주변에서 이들이 소화하지 못하고 토한 토사물 덩어리를 수거해 분석했다.

그 결과, 수거한 1087개의 토사물 가운데 60%에서 플라스틱이 발견됐다. 토사물 전체 질량에서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중은 2.7% 수준이었다. 플라스틱 이외에도 돌과 동물 잔해, 금속, 섬유, 종이, 나무 등이 발견됐다.

'푸리에 전환 적외선(FTIR) 분광법'을 활용해 플라스틱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실리콘 고무(7.5%)와 고밀도 폴리에틸렌(7.0%), 일반 폴리에틸렌(6.4%) 등이 가장 많았다.

이밖에도 연구팀은 플라스틱 토사물의 양과 도시에서 홰까지 떨어진 거리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400m~20km 거리 한도에서 △푸드트럭, 식당, 슈퍼마켓 등 음식점 밀집도 △가축 및 사냥용 동물 사육업체 밀집도 △쓰레기 매립지와의 거리 △도심 개발량 등 4가지 척도를 기반으로 통계를 냈다.

통계분석 결과, 20㎞ 이내에서 도심개발이 증가하고, 음식점 밀도가 높아지면서 플라스틱을 함유한 토사물 덩어리 비중이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같은 분석결과와 직접 관찰을 통해 검은대머리수리가 주로 음식점 쓰레기통을 뒤져 플라스틱을 먹는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 제1저자인 박사과정 대학원생 한나 파트리지는 "검은대머리수리가 패스트푸드 음식점 주변의 전신주 주변에서 밤을 보낸 뒤 아침에 쓰레기통으로 직접 날아들었다"면서 "농촌지역과 자연이 제공하는 먹이를 선호하는 터키콘도르는 덜한 편"이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독수리가 죽은 동물에서 섭취해 온 뼛조각이라고 생각해 플라스틱을 먹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호기심이 많고 늘 새로운 먹이원을 찾다보니 플라스틱도 먹이라고 생각해 먹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동물의 털과 같은 소화할 수 없는 내용물을 토해내기 위해 플라스틱을 의도적으로 먹었을 수도 있다고도 했다.

가네 부교수는 "식당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독수리가 뚜껑을 열 수 없는 통에 담아 버려야 한다"면서 "독수리와 다른 동물에게 해가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는 쪽으로도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논문은 12일(현지시간) 학술지 '프런티어스: 생태와 진화'(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