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락을 아세요?...플라스틱이 자연의 일부가 된 섬뜩한 모습"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16 08:30:02
  • -
  • +
  • 인쇄
[인터뷰] 뉴락 수집해 전시하는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이 자연의 일부가 된 섬뜩한 모습"
▲플라스틱이 돌처럼 딱딱하게 변형되는 '뉴락'을 수집하는 장한나 작가 ⓒnewstree

"작품을 본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꼈으면 좋겠어요."

작업실 한 켠에 잔뜩 쌓여있는 돌멩이들을 살펴보던 장한나 작가가 제법 큰 돌덩이 하나를 짚더니 공중에 휙 던지고선 가볍게 받아낸다. 자세히보니 돌이 아니라 스티로폼이 딱딱하게 굳어버린 덩어리였다. 일부러 돌처럼 칠하고 꾸민 것이냐는 질문에 장 작가는 "제가 만든 게 아니라 자연이 만든 것"이라 답했다. 바로 이것이 버려진 스티로폼이 만들어낸 새로운 돌 '뉴락'(New Rock)이었다.

올 3월 브라질의 화산섬 '트린다지'(Trindade)에서 플라스틱이 녹아 자연물에 눌러붙은 '플라스틱 암석'이 발견돼 전세계가 플라스틱 오염의 심각성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이런 플라스틱 암석이 브라질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발견됐다. 이를 몇 년 전부터 수집해온 장한나 작가를 직접 만나봤다.


◇ 플라스틱이 암석화된 '뉴락'

▲제주도 해안 바위에 눌러붙은 플라스틱, 어업용 밧줄로 보인다. (사진=장한나 작가)

'뉴락'은 암석화된 플라스틱 쓰레기를 일컫는 말이다. 버려진 플라스틱이 비바람에 깎이거나 지열과 태양열에 녹아 돌에 눌어붙으면서 만들어진 새로운 형태의 돌이다. 때로는 스티로폼이 풍화되면서 딱딱하게 변한 것도 있다. 장한나 작가(36)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New) 돌(Rock)이라는 의미에서 '뉴락'으로 이름 붙였다.

장 작가가 뉴락을 모으기 시작한 것은 2017년부터다. 당시 제주도 해변에서 바위에 들러붙어 돌처럼 된 플라스틱을 발견하면서부터다. 강변과 해안에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가 많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풍화작용을 거쳐 마치 자연의 일부인 것처럼 변한 플라스틱을 보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장 작가는 "이전에도 환경을 주제로 한 작품 활동 경험이 있어 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면서 "하지만 그 플라스틱의 말로가 이런 형태로 나타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후부터 기회가 생길 때마다 뉴락을 수집하고 주변에 소개하고 있다고 했다. 장 작가의 이같은 모습을 눈여겨보던 큐레이터가 전시회를 제안하면서 본격적인 '뉴락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 자연물과 뒤섞여 버린 플라스틱

▲'뉴락' 표본. 이 가운데 하나만 진짜 돌이다. (사진=장한나 작가)

장한나 작가가 지난 6년간 전국에 있는 해안을 비롯해 한강 유역과 작은 섬에서 수집한 뉴락은 대략 2000여점에 달한다. 이렇게 많은 표본을 수집했지만 모양이 같은 것은 단 하나도 없다.

장 작가는 "뉴락의 놀라운 점은 인공물이 자연에 녹아들고 있는 것"이라며 "몇몇 뉴락은 천연석과 구별이 불가할 정도"라고 말했다. 실제로 기자가 표본을 집중해서 쳐다봐도 자연석과 뉴락을 구별할 수 없었다.

그는 전라남도 신안군 바닷가에 뉴락을 수집하러 갔을 때를 회상하며 "쓰레기가 많이 쌓여있다는 제보를 받아 갔는데 공교롭게도 지자체가 이미 쓰레기를 깨끗이 수거한 뒤였다"며 "그런데 해안가에는 여전히 뉴락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청소하러 온 사람들이 뉴락을 자연석인줄 알고 그냥 지나쳤던 것이다.

뉴락을 자연석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은 사람뿐만이 아니다. 해안을 떠다니는 부표와 비닐에는 홍합과 따개비가 다닥다닥 붙어있고 모래밭에 파묻힌 세제통에는 물풀이 자라난다. 심지어 뉴락에 집을 짓고 사는 개미들도 있다. 

▲딱딱한 덩어리로 변한 스티로폼 속에 집짓는 개미들 (사진=장한나 작가)

장한나 작가는 "올초 인천에서 커다란 바위처럼 생긴 스티로폼 뉴락을 작업실로 가져왔는데 이상하게 자꾸 하얀가루가 주변에 떨어졌다"며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자세히 관찰해봤더니 스티로폼 곳곳에 있는 구멍마다 개미들이 드나들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고 했다. 이전에도 뉴락에서 종종 곤충을 발견했지만 서식지를 형성한 모습을 본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장 작가는 "이처럼 자연물이 된 플라스틱은 결국 인간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플라스틱은 제조할 때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도 함께 들어가는데 이런 첨가물들은 대부분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플라스틱에 다양한 생물들이 생태공간을 만들고 살아가는 것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런 생태공간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플라스틱은 더 잘게 쪼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고, 이는 먹이사슬을 통해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에게 되돌아오는 것이다.


◇ 백마디 말보다 한 점의 '뉴락'

장한나 작가는 '뉴락' 전시에 대해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생각했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심각성을 주변에 아무리 말해도 귓등으로 듣던 사람들이 '뉴락'을 한번 보게 되면 '이게 맞나? 뭔가 불편하다'고 느끼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장 작가는 "저 역시 뉴락을 보고 나서 플라스틱 오염에 대해 새롭게 고민하기 시작했다"면서 "앞으로 뉴락이라는 것이 지구에 생겨나고 있음을 알리고 이를 통해 어떤 미래가 오게 될까 고민하게 만들기 위해 이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뉴락을 보면서 어쩌면 우리도 스티로폼 속 개미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각종 전자기기, 생활용품, 일회용품 심지어 옷에 이르기까지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되지 않은 제품이 없을 정도로 우리는 플라스틱에 둘러싸여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뉴락'은 플라스틱의 역습인 셈이다.

한편 장한나 작가의 '뉴락 New Rock' 전시회는 오는 5월 4일부터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에서 열린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KT "해킹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

KT가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5개월간 무료 데이터 100기가바이트(GB)와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또는 단말기 교체비를 지원한다고 29일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후/환경

+

목표를 이미 60% 달성?...2035년 NDC 산업 배출전망 '뻥튀기'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과거의 '산업부문 배출 과대추정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윤석열 정부가

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