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 "담배꽁초 500g 1만원"…다른 지자체는 포기 왜?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9 18:11:44
  • -
  • +
  • 인쇄
'수거보상제' 시행중인 곳은 도봉구뿐
과열경쟁에 예산부족…재활용도 못해
▲미세플라스틱 주범으로 지목되는 담배꽁초(사진=용산구)

일부 지자체에서 '담배꽁초 수거보상제'가 시행된지 1년 반이 지난 가운데 여러 부작용과 예산 과다로 사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9일 서울 용산구는 길거리에 버려진 꽁초를 가져오면 무게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하는 '담배꽁초 수거보상제'를 연중 운영한다고 밝혔다.


보상금은 수거된 꽁초 무게가 월 최소 500g 이상이면 1g당 20원씩 최소 1만원이 지급된다. 국산 담배 한 개비의 무게가 약 0.9g으로 꽁초 길이가 담배의 3분의 1정도라고 보면 1600개 이상 주워와야 1만원을 받을 수 있다.

단, 측정 시 이물질은 무게에서 빼고, 젖은 꽁초는 받지 않는다.

만 20세 이상 용산구민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신분증과 통장 사본을 가지고 구청 또는 동주민센터를 방문해 참여 신청만 하면 된다.

이처럼 담배꽁초를 모아오면 현금 또는 종량제 쓰레기봉투 등 보상금을 지급하는 '담배꽁초 수거보상제'는 2021년 8월 광주 광산구에서 지역 최초로 시행해 서울 도봉구·강북구 등 다른 지자체까지 확대됐다.

이같은 사업 시행 취지는 크게 2가지로 폐지를 주워 생활하는 70세 이상 노인들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꽁초를 모아 간접적인 생활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일반인들도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쓰레기를 수거해 환경오염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각 지자체에 확인한 결과 담배꽁초 수거보상제를 현재까지 시행중인 곳은 서울 도봉구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북구·광주 광산구는 지난해까지 제도를 시행했지만 올해부터 시행하지 않고 있다.

각 지자체 관계자들은 사업 포기 원인으로 각종 부작용과 예산 비대화, 폐기물 처리문제 등을 지목했다. 광주 광산구의 경우 시행 8개월 만에 사업이 중단됐다. 시민들의 높은 참여덕에 많은 양의 꽁초가 수거되면서 순식간에 예산 1270만원이 모두 소진된 것이다. 이 기간 수거된 총 담배꽁초는 649.9㎏, 이를 환산하면 10만8324갑에 달한다.

이처럼 참여율이 높다면 성공적인 사업으로 볼 수 있겠으나 각종 부작용이 뒤따랐다.

우선 담배꽁초 수거 경쟁이 너무 과열된 것이다. 보상금 예산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모은 꽁초를 늦게 갖다줄수록 보상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빠르게 꽁초를 모으기 위해 흡연장·노래방 등에서 꽁초를 받아와 제출하는 것이다. 도시 미화라는 취지와 달리 수거량이 폭증해 예산이 빠르게 소진되면서 사업 목적과 맞지 않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사업 참여자들에게 이같은 내용을 교육시키지만 지자체에서 성분 검사를 할 수 없는 이상 갖다 주는 꽁초는 모두 받는 수밖에 없어 이 점을 악용하는 사례가 이어졌다.

서울 강북구에서는 참여율이 높아지면서 보상금 예산이 과하게 책정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꽁초를 가져오는 만큼 보상을 해줘야 하는데 너무 많은 양이 들어오면서 예산안을 넘어서는 경우마저 발생해 올해부터 사업을 포기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모인 담배꽁초를 처리할 방도가 없는 것이다. 광산구는 사업 구상 단계에서 수집한 담배꽁초를 재활용 업체를 통해 순환자원으로 활용하려 했다. 담배꽁초는 플라스틱 필터가 들어있어 환경오염과 미세플라스틱 문제의 주범으로 꼽힌다. 그러나 악취와 오염, 발암물질 포함 등의 이유로 일반 플라스틱 제품처럼 실질적인 재활용이 불가능했다.

광산구 관계자는 "환경부 용역 등에서 도출된 꽁초 재활용 방식인 골프채 보호대 제작, 벽돌이나 플라스틱 가구 재활용 방안 등을 모색했지만 지역 내에 관련 업체가 전무해 수거된 꽁초는 일괄 폐기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같은 문제는 현재 사업을 시행중인 도봉구도 마찬가지다. 도봉구는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시행한 담배꽁초 수거보상제에 주민 101명이 참여해 꽁초 2035㎏을 모았지만 역시 재활용할 방도가 없어 모두 자체 폐기했다고 전했다.

이날 담배꽁초 수거보상제를 시행하는 용산구 관계자는 "앞서 다른 지자체에서 시행한 내용과 부작용 모두 인지하고 있다"면서도 "우선 시민들의 참여율이 얼마나 되는지 성과를 확인한 후 정책을 수정해 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기후/환경

+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

주거지·학교 인근서 유해가스 '뿜뿜'...불법배출 업체 10곳 적발

주거지와 학교 인근에서 유해가스를 불법 배출한 업체들이 적발됐다.경기도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도장·인쇄업체 210개를 대상으로 유

올 7월 한반도 평균기온 27.1℃...'역대 두번째로 더웠다'

우리나라의 올 7월은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더웠다.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로 나타났다. '20세기 최악의 더위'가 나타난

[날씨] '폭염과 폭우' 급변하는 날씨...6일 120㎜ 폭우 예보

5일 낮기온이 36℃까지 치솟는 폭염이었다가 수요일인 6일은 최대 120㎜의 폭우가 퍼붓는 종잡을 수 없는 날씨를 보이겠다.고온다습한 남풍의 유입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