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7월 판매량 '뒷걸음'...전기차 판매만 '씽씽'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1 17:31:57
  • -
  • +
  • 인쇄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더뉴 아이오닉5'

7월 현대자동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6월에 비해 6.9%나 감소한 실적을 보였지만 전기차는 14.9% 늘어난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수소차 '넥쏘'는 1000대 이상 판매하는 호실적을 보였다. 기아 역시 6월에 비해 글로벌 판매량이 2.7% 줄어들었지만 전기차는 29.1% 늘었다.

현대자동차가 7월 국내에서 5만6227대, 해외에서 27만8567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월대비 0.5% 증가한 33만4794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0.4% 증가, 해외 판매는 0.5% 증가했지만 6월 판매량 35만9458대와 비교해서는 6.9% 감소한 것이다.  

현대차의 7월 국내 친환경차 판매량은 2만2076대로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43.6% 늘었다. 6월에 비해서도 1.2% 늘었다. 친환경차 가운데 하이브리드 차량은 1만5479대로 전체 친환경차의 70.1%를 차지했다. 전기차는 5596대가 팔렸고, 수소차 '넥쏘'는 1001대 판매됐다.

7월은 전기차 판매량이 두드러지게 늘었다. 지난해 7월과 비교하면 판매량이 43.3% 늘었고, 6월에 비해서도 14.9% 늘었다. 그러다보니 7월 전기차 판매비중이 25.3%로 전월대비 3%포인트(p) 증가했다. 6월에 50대에 불과했던 수소차 '넥쏘' 판매량은 무려 1902% 늘었다. 넥쏘는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서도 판매량이 203.3% 늘었다. 

6월에 판매가 다소 주춤했던 펠리세이드 하이브리드는 7월에 5148대가 판매되면서 2위 싼타페(2855대)를 크게 눌렀다. 이 차종은 3월에 출시된 이후 꾸준하게 잘 팔리고 있는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다. 반면 싼타페는 전월에 비해 판매량이 29.8% 줄었다. 그랜저 하이브리드 역시 전월보다 17.1% 줄어든 2584대 팔리는데 그쳤다. 쏘나타도 20.1% 줄어든 604대, 아반떼는 15.2% 줄어든 964대가 팔렸다. 

전기차 가운데 '아이오닉5'는 1510대로 전월보다 1.4%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하면 판매량이 14.4% 줄어든 모습이다. 올 2월 출시된 아이오닉9이 7월에 1137대로 전월에 비해 48.2% 판매량이 늘었다. 아이오닉6은 전월비 8.6% 감소한 616대를 팔았고, 캐스퍼는 4.5% 증가한 648대를 팔았다. 이외 포터가 928대, 코나가 365대, GV70이 109대 팔렸다.

현대차 관계자는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확대해 시장 점유율을 지속 확대해나갈 예정"이라면서 "탄력적인 고객 수요 대응 위해 판매 호조 차종의 생산 최적화 및 주요 모델 상품성 개선 등 최적의 판매 전략을 실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아는 7월 국내에서 4만5017대, 해외에서 21만7188대, 특수 500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한 26만2705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2.2% 감소, 해외는 0.9% 증가한 수치다.

친환경 차량은 전년 같은기간에 비해 22.8% 증가한 2만1918대를 기록했다. 6월에 비해 1.6% 증가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지난해보다 22.6% 늘어난 1만4991대가 팔렸고, 전기차는 23.3% 증가한 6927대가 판매됐다. 하이브리드는 6월보다 7.5% 줄었고, 전기차는 29.1% 늘었다.

하이브리드 차량 가운데 쏘렌토가 5812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다. 그 뒤로 카니발 4341대, 스포티지 1773대, K8 1322대가 이었다. 전기차 중에선 EV3가 2199대로 가장 많이 팔렸고, EV4가 1485대, 레이EV가 1442대, EV6가 936대, EV9이 173대 순으로 팔렸다.

기아 관계자는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호조로 6개월 연속 전년비 판매 성장세를 지속하는 중"이라며 "8월에는 EV4의 수출 본격화와 PV5, EV5 등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를 통한 판매 모멘텀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