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해진 바닷물...해수욕장마다 독성 해파리 '득실득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4 11:30:50
  • -
  • +
  • 인쇄
▲지난해 부산 송정해수욕장에서 잡은 대형 해파리(사진=연합뉴스)

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면서 연안 바다마다 해파리가 득실거리고 있다. 이 때문에 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을 찾은 사람들의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해파리는 매년 번식철이 되면 따뜻한 물의 흐름을 따라 해안으로 이동한다. 수명이 짧아 가을이 되면 대부분 사라지지만, 수온이 오르면 해파리의 수와 체류 기간은 더 늘어난다. 해파리 증가의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를 지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여름만 되면 출몰하는 독성 해파리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우리 연안에 많이 나타나는 독성 해파리는 푸른곰팡이같이 생긴 푸른우산관해파리다. 지름 3∼4㎝ 정도의 작은 크기인 이 해파리는 동그란 몸체 아래 먹이를 포획하는 수많은 촉수가 달려있다. 주로 인도양과 태평양 등 따뜻한 열대 해역에 서식하지만 해수온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까지 서식지를 넓히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해파리 쏘임사고는 4224건에 달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5.6배 늘어난 수준이다. 2023년까지만 해도 면적당 0.3마리에 그쳤던 독성 해파리는 지난해 20~40마리로 늘어났다. 이 해파리들은 동중국해에서 발생해 해류를 따라 남해를 거쳐 동해까지 점령했다. 실제로 해파리 물림사고는 부산이 가장 많았다.

올해도 부산 해수욕장에서 해파리 쏘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강원도는 14개 해수욕장에 차단망을 설치한 반면 부산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엇갈려 설치하지 않으면서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 제주도 7월초부터 해파리 쏘임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독성 해파리가 출몰하는 해수욕장은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도 지난달 28일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지만 쏘임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영국도 바닷물 온도가 오르면서 해안에 해파리가 급증하고 있다. 영국에서 급증하고 있는 대표적인 해파리 개체는 바렐해파리다. 지름이 1m까지 자라는 이 해파리는 두꺼운 갓과 프릴 형태의 촉수를 지녔다. 독성은 비교적 약하다. 이외에도 물해파리, 사자갈기해파리, 푸른해파리, 야광원양해파리 등의 개체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영국 해양보존협회(Marine Conservation Society)에 따르면 지난해 해파리 목격 건수는 1432건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전했다. 

바다에서 해파리를 발견하면 절대 다가가지 말고 손으로 만지지도 말아야 한다. 또 독성 해파리에 스쳤거나 쏘였을 때는 즉시 물 밖으로 나와 수돗물이 아닌 깨끗한 해수나 식염수로 씻어야 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