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간 조용하던 러 캄차카 화산 분화…7.0 강진의 영향?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4 16:41:38
  • -
  • +
  • 인쇄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에서 규모 7.0 강진이 발생한 직후 600년동안 잠들어 있던 화산이 분화했다.
 
4일(현지시간) 새벽, 캄차카 크라셰닌니코프화산에서 화산재 기둥이 최대 6km 높이까지 치솟았다. 러시아 비상사태부는 "화산재는 태평양 방향으로 퍼졌으며, 인근 거주 지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화산이 위치한 크로놋스키 자연보호구 관리소 측은 "새벽 6시쯤 분화가 시작돼 직원들을 긴급 대피시켰다"고 했다.

크라세닌니코프화산의 분화는 공식적으로 기록된 첫 사례다. 러시아 화산분화대응팀 책임자 올가 기리나는 국영 RIA통신에 "크라셰닌니코프화산의 역사적으로 확인된 첫 분화이며, 마지막 용암 분출은 1463년 전후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분화 직전에는 인근 쿠릴열도 해역에서 규모 7.0 지진이 발생했고, 러시아 당국은 일시적으로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가 해제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번 화산의 분화가 강진과 강력하게 연관돼 있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기리나는 "며칠 전 발생한 8.8 강진과 이번 분화가 연관돼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지진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칠레, 하와이, 일본 등지에 쓰나미 경보를 유발한 초강진이었다.

캘리포니아대 리버사이드 캠퍼스 지진학자 아비짓 고시는 "화산과 지진이 시간적·공간적으로 밀접하게 연속돼 발생한 것은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라며 "지구 지질계의 복잡하고 연결된 특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분화에 앞서 캄차카의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인 클류체프스코이화산도 지진 발생 직후 활동을 시작했다. 캄차카반도에는 29개의 활화산이 존재하며, 매년 수 차례 분화가 발생해 북태평양 항공 운항에 영향을 준다.

캄차카 비상사태부는 "이번 화산에 오렌지색 항공 코드가 부여됐다"며 항공기 운항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러시아 당국은 현재 "화산 활동이 다소 줄었지만, 중간 수준의 폭발성 활동은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