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뱃속에 44㎏…미세플라스틱 하루 1천만개 '꿀꺽'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3 12:17:01
  • -
  • +
  • 인쇄
크릴새우 섭취할수록 체내 비율 높아
"플라스틱오염 결국 인체로 돌아올 것"
▲2009년 멕시코 엔세나다 해변에서 발견된 대왕고래 사체(사진=연합뉴스)

지구상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 대왕고래가 하루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이 최대 1000만 조각으로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샤이럴 카헤인-라포트(Shirel Kahane-Rapport)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 혹등고래가 매일 엄청난 양의 미세플라스틱(5㎜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남부의 몬터레이 만, 채널제도와 패널론스 및 코델 뱅크 국립 해양보호구역에 서식하는 고래 191마리의 등에 위성 송신기가 달린 맞춤형 동물 추적 솔루션(CATS) 태그를 부착해 그들의 먹이 활동을 추적했다. 조사된 데이터와 고래들이 서식하는 태평양 캘리포니아 해류의 미세플라스틱 데이터를 결합해 고래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량을 계산했다.

그 결과 대왕고래가 하루에 약 1000만 조각의 미세플라스틱을 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게로 치면 43.5㎏에 이르는 양으로, 1년이면 약 10억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크릴을 주로 먹는 긴수염고래 또한 하루에 약 540만 조각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심과 고래 체내 미세플라스틱이 쌓이는 비율의 상관관계 그래프(사진=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캡쳐)

연구팀에 따르면 고래들은 주로 수심 50m~250m에서 먹이를 먹는데, 이는 바다에서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가장 높은 수심과 일치했다. 이를 통해 고래 몸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의 99%가 먹이 섭취로 인해 흡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진 크릴새우를 주식으로 삼는 고래일수록 체내 미세플라스틱 비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혹등고래의 경우 청어나 멸치를 먹는 개체는 미세플라스틱을 약 20만 조각 섭취하는 반면, 크릴새우를 주로 먹는 개체는 100만 조각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다고 한다.

카헤인-라포트 박사는 "고래가 먹이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흡수한다는 사실은 인간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면서 "크릴새우는 먹이 사슬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 있으며, 인간은 크릴새우를 먹는 멸치와 정어리 등 생선을 먹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크릴새우가 섭취한 미세플라스틱은 소화되는 과정에서 나노플라스틱(1㎛ 미만의 초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될 수 있어 해양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고래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라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이 실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세포, 실험실 동물, 해양야생동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플라스틱은 프탈레이트 등 유해한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