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뱃속에 44㎏…미세플라스틱 하루 1천만개 '꿀꺽'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3 12:17:01
  • -
  • +
  • 인쇄
크릴새우 섭취할수록 체내 비율 높아
"플라스틱오염 결국 인체로 돌아올 것"
▲2009년 멕시코 엔세나다 해변에서 발견된 대왕고래 사체(사진=연합뉴스)

지구상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 대왕고래가 하루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이 최대 1000만 조각으로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샤이럴 카헤인-라포트(Shirel Kahane-Rapport)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 혹등고래가 매일 엄청난 양의 미세플라스틱(5㎜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남부의 몬터레이 만, 채널제도와 패널론스 및 코델 뱅크 국립 해양보호구역에 서식하는 고래 191마리의 등에 위성 송신기가 달린 맞춤형 동물 추적 솔루션(CATS) 태그를 부착해 그들의 먹이 활동을 추적했다. 조사된 데이터와 고래들이 서식하는 태평양 캘리포니아 해류의 미세플라스틱 데이터를 결합해 고래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량을 계산했다.

그 결과 대왕고래가 하루에 약 1000만 조각의 미세플라스틱을 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게로 치면 43.5㎏에 이르는 양으로, 1년이면 약 10억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크릴을 주로 먹는 긴수염고래 또한 하루에 약 540만 조각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심과 고래 체내 미세플라스틱이 쌓이는 비율의 상관관계 그래프(사진=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캡쳐)

연구팀에 따르면 고래들은 주로 수심 50m~250m에서 먹이를 먹는데, 이는 바다에서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가장 높은 수심과 일치했다. 이를 통해 고래 몸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의 99%가 먹이 섭취로 인해 흡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진 크릴새우를 주식으로 삼는 고래일수록 체내 미세플라스틱 비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혹등고래의 경우 청어나 멸치를 먹는 개체는 미세플라스틱을 약 20만 조각 섭취하는 반면, 크릴새우를 주로 먹는 개체는 100만 조각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다고 한다.

카헤인-라포트 박사는 "고래가 먹이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흡수한다는 사실은 인간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면서 "크릴새우는 먹이 사슬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 있으며, 인간은 크릴새우를 먹는 멸치와 정어리 등 생선을 먹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크릴새우가 섭취한 미세플라스틱은 소화되는 과정에서 나노플라스틱(1㎛ 미만의 초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될 수 있어 해양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고래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라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이 실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세포, 실험실 동물, 해양야생동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플라스틱은 프탈레이트 등 유해한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중공업,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

삼성중공업이 선박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해상실증 나선다.삼성중공업은 독자 개발한 '유기랭킨사이클(ORC:Organic Rankine Cycle) 기반 폐열회수 발전시스템(

쿠팡 '못난이 채소' 새벽배송 3년...직매입 물량 8000톤 돌파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쿠팡은 지난 2023년부터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기후/환경

+

전기차 충전시설, 28일부터 지자체 신고·책임보험 의무화

이달 28일부터 건축물 주차장에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지자체에 신고하고 책임보험도 가입해야 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같은 내용을

[COP30] 교황의 묵직한 경고..."기후위기 대응, 더는 미룰 수 없다"

교황 레오 14세가 세계를 향해 "기후위기 대응을 즉각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는 묵직한 경고를 날렸다.교황 레오 14세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는 제30차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앞으로 '1000년' 이어진다

탄소중립을 달성해도 산업화 이후 오른 지구의 평균기온이 최소 1000년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17일(현지시간) 21세기 호주 연방산업연구기구(CSIRO)

[COP30] "이건 생존이다!"…기후 취약국들 COP30에서 '절규'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는 생존 문제"라며 선진국의 실질적 감축과 재정지원 확대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17일(현지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

지역마다 제각각 풍력·태양광 '이격거리'...기후부, 규제 합리화 추진

지역마다 제각각인 태양광과 풍력의 이격거리를 중앙정부 차원에서 규제 합리화를 추진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서울 영등포구 한국에너지공단 서울

'대기의 강' 때문?...美 LA에 역대급 폭우로 '물난리'

미국 로스앤젤레스(LA)를 비롯한 캘리포니아 남부지역에 폭우가 나흘 넘게 이어지면서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다.17일(현지시간)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