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서 미세플라스틱 첫 검출…아기가 위험하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4 08:30:03
  • -
  • +
  • 인쇄
이탈리아 연구진, 건강한 산모 75%서 검출
"유아에 치명적…임신 중 오염원 노출 조심"

미세플라스틱이 사람 모유에서 처음으로 검출됐다.

7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는 이탈리아 연구팀이 사람의 모유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검출했다고 보도했다. 출산한 지 일주일 된 이탈리아 로마의 건강한 산모 34명을 검사한 결과 이 중 26명, 즉 75%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산모의 플라스틱포장 및 플라스틱이 함유된 개인위생용품 사용을 조사했으나 체내 미세플라스틱과의 상관관계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는 환경 도처에 플라스틱 오염이 만연해지면서 공기 및 물, 음식 등 보다 간접적인 경로를 통한 인체의 미세플라스틱 노출이 불가피한 상태임을 시사했다.

2020년 인간의 태반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되었으며 다른 최근 연구에서는 우유에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되고 분유를 먹는 아기가 하루 수백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3월에는 딕 베타악(Dick Vethaak)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자유대학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인간의 혈액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베타악 교수는 해당 연구를 통해 인간의 모유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내놨다.

미세플라스틱이 실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세포, 실험실 동물, 해양야생동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플라스틱은 프탈레이트 등 유해한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이 아기의 건강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큰 우려를 표하며 추가연구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발렌티나 노타르스테파노(Valentina Notarstefano) 이탈리아 폴리티크니카 델레 마르케대학(Università Politecnica delle Marche) 박사는 "유아는 화학오염물질에 극도로 취약하다"며 임신과 수유기간 이러한 오염물질 노출을 줄일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모유수유가 아기를 위한 좋은 방법임을 강조했다. "모유 수유의 이점은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단점보다 훨씬 더 크다"며 "이러한 연구는 모유 수유를 줄이는 방향이 아닌 대중의 인식을 높여 정치인에게 공해를 줄이는 법을 홍보하도록 압력을 가해야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