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이대로면 고작 4개국만 가능"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6-02 14:46:01
  • -
  • +
  • 인쇄
美 예일대·컬럼비아대 환경성과지수 공개
180개국 중 176개국 '미달'...한국은 167위


현행 추세대로면 전세계 국가들의 98%가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제때에 이루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일(현지시간) 미국 예일대 환경법·정책센터와 컬럼비아대 국제지구과학정보센터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환경성과지수'(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EPI) 보고서를 발간했다. 2년마다 공개되는 EPI는 가장 포괄적인 환경분석으로 평가받는다. 환경보건, 생태계활력, 기후정책 등 3개 부문 40개 성과지표를 종합해 0~100점 사이의 척도로 전세계 180개국의 점수를 매긴다.

이번 EPI에는 '2050년 온실가스 예상배출량' 항목이 추가됐다. 2021년 유엔(UN)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가 강조한대로 지구 평균기온이 파리기후변화협정이 설정한 인류생존의 마지노선 '1.5°C'를 한참 웃도는 2.7°C를 향해가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한 조처다. 해당 항목은 이산화탄소, 메탄, 불소화합물, 아산화질소 등 4개 주요 온실가스의 예상 증감량 추이를 분석한 결과값으로 2050년 예상치가 탄소중립에 가까울수록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180개국 가운데 종합순위 1위를 차지한 덴마크, 그리고 영국, 보츠와나, 나미비아 등 4개국을 제외한 176개국은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전망이다. 2050년 중국의 예상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은 29%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 인도(11%), 미국(8%), 러시아(5%)가 순위를 이으면서 4개 국가가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보고서는 위 4개국을 포함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0%를 차지하게 될 국가들을 '더러운 24개국'으로 지목했다. 해당 목록에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석탄화력발전 비중을 늘린 독일은 유럽 내 유일한 국가로 불명예를 안았다. 한국 역시 질소산화물,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등 대기오염물질 저감 노력이 현저히 뒤처지면서 '2050년 온실가스 예상배출량' 항목에서 167위를 기록하며 주요 환경오염 국가 대열에 합류했다. 다만 쓰레기종량제를 통한 재활용률, 수돗물 위생 등 항목에서 1위를 차지하며 종합 EPI 점수는 46.9점으로 63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2050년 온실가스 예상배출량 항목에서 167위를 기록했다. (자료=EPI)



이번 보고서의 공동저자인 예일대 환경법·정책센터 다니엘 에스티 센터장은 "주요국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심각한 피해를 막기 위해 훨씬 더 해야할 일이 많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대부분 국가들이 탄소중립을 위해 충분한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많은 정책결정자들에게 경종을 울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