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낭보다 작은 크기의 '탄소포집 시스템' 개발..."100배 효율적"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1-29 08:27:02
  • -
  • +
  • 인쇄
이산화탄소 1톤당 처리비용 145달러 불과
시간당 300kg 탄소포집...가정도 사용가능
▲UIC공대 연구진이 디자인한 탄소포집과정 이미지. 이산화탄소는 건조한 유기용액에 흡수돼 중탄산나트륨 이온을 형성하고, 이 이온은 멤브레인(막)을 가로질러 이동한 후 액체용액에서 농축된 이산화탄소로 용해된다. (탄소원자=빨간색, 산소원자=파란색, 수소원자=흰색) (사진=UIC)


배낭보다 작은 크기인데도 기존 시스템보다 100배 더 많은 탄소를 포집하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미국 시카고 일리노이대학(UIC) 연구진은 현재의 탄소포집기술(CCU)보다 100배 더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비용 효율적인 '적층형 인공잎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 시스템으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연료나 기타 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인공잎 시스템의 크기는 배낭에 들어갈 정도로 작다. 게다가 실험실 가압탱크의 순수한 이산화탄소로만 작동하는 다른 탄소포집기술과 달리, 이 인공 잎은 실험실 밖 현장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다.

미네시 싱 UIC공과대학 화학과 조교수는 "전기투석 방식으로 구동되는 인공잎 시스템은 모듈 표면적이 작고 유동성이 높다는 점이 흥미롭다"고 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모듈은 필요에 따라 추가하거나 뺄 수 있어, 산업계뿐만 아니라 가정과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가정용 가습기 크기의 소형모듈은 하루 1kg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 4개의 산업용 전기투석 장치로는 연도가스(flue gas)에서 시간당 300kg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어, 탄소배출이 많은 화력발전소용으로 제격이다.

연구진은 기존의 표준 인공잎 시스템을 값싼 재료로 개조했다. 전기충전된 얇은막(멤브레인)으로 건조한 면과 젖은 면을 나눈 것이다. 건조한 쪽에서 유기용매는 이용가능한 이산화탄소에 부착돼 얇은막에 중탄산염 또는 베이킹소다를 생성한다. 중탄산염이 형성됨에 따라, 음전하를 띤 이온들은 얇은막을 가로질러 젖은 면에 있는 수성용액의 양전하를 띤 전극으로 당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액체용액은 중탄산염을 다시 이산화탄소로 용해시켜 연료나 기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 전하를 이용하면 중탄산염이 얇은막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속도를 높인다.

시험결과, 개조된 인공잎 시스템은 1시간에 4cm²당 3.3밀리몰(mmol)의 매우 높은 유동성(flux:반응에 필요한 표면적 대비 탄소포집 속도)을 보였다. 1와트(W)짜리 LED 전구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적은 양의 전기(0.4KJ/시간)만 써도 다른 시스템보다 100배 이상 우수한 것이다. 이산화탄소 1톤당 시스템 비용은 145달러에 불과해, 탄소포집 비용이 1톤당 200달러를 넘지 말아야 한다는 에너지부의 권고와도 맞아떨어졌다.

싱 교수는 "인공잎 시스템은 성능이 가장 뛰어난 실험실 기반 시스템과 비교해도 탄소포집률이 높고 비용이 저렴하다"면서 "특히 연구실 밖에 배치될 수 있어 대기중 온실가스 감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인공잎 시스템의 디자인과 실험결과는 에너지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름다운가게, 수익나눔 '2026 희망나누기' 파트너 공모

비영리 공익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파트너 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26 아름다운 희망나누기' 사

"굳이 2교대를?" 李대통령 지적에...SPC '8시간 초과 야근' 없앤다

SPC그룹이 생산직 야근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해 장시간 야간근로를 없앤다.SPC그룹은 지난 25일 경기도 시흥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기후/환경

+

기후·환경정보 한눈에...'경기기후플랫폼' 서비스 시작

경기도에서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려면 어디가 가장 좋을까? 전기요금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내 주변 가장 가까운 폭염대피소는 어디지? 이런 질

기록적 폭염이 키운 산불...그리스·튀르키예 동시다발 산불에 '아비규환'

그리스와 튀르키예 전역에서 대형 산불이 동시다발 발생해 수십명이 대피하고,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그리스는 전국에서 화재 진압이 이어지

동부 40℃ 폭염, 서부 알래스카급 냉기…'이상기후'에 갇힌 美

미국 전역이 극단적인 이상기후에 휩싸였다. 동부와 중서부는 6월에 이어 또다시 열돔에 갇혀 체감온도가 40℃를 넘는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반면, 서

[날씨] "이러다 40℃ 넘겠다"...폭염 기세 더 맹렬해진다

지난 주말 일부 지역에서 한낮 최고기온이 40℃에 육박하는 맹렬한 폭염이 이번주 내내 이어진다. 한낮기온이 매일 정점을 찍으며 올라가는 '극한폭염'

녹색철강, 수요 있어야 전환도 있다..."정부가 공공조달 물꼬 틔워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정부의 녹색철강 수요 창출이 전환을 이끄는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