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집량 비해 포집비용 비싸 보완역할 그칠듯
연간 자동차 870대가 내뿜는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CCUS) 시설이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
스위스 친환경 솔루션기업 '클라임웍스'(Climeworks)가 개발한 직접공기포집(DAC) 시설 '오르카'(Orca)가 8일(현지시간) 아이슬란드에서 기념식을 갖고 가동에 들어갔다. 이 시설은 연간 4000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다.
아이슬란드어로 에너지를 뜻하는 '오르카'는 아이슬란드 최대 지열발전소 헬리샤이디 근처에 위치해 있다. 덕분에 오르카는 천연가스로 가동되는 기존 CCUS 장치들과 달리 재생에너지로 가동되기 때문에 탄소포집량 대비 10% 이하의 이산화탄소만 배출한다.
오르카는 DAC 기술을 사용한다. 부착된 여러 대의 환풍기가 공기를 빨아들이면 흡착제가 달린 필터를 지나게 된다. 미량의 산성을 띠고 있는 이 흡착제가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인다. 필터가 꽉 차면 100°C까지 가열해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방출한다.
필터에서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파이프를 타고 다른 시설로 이동한다. 이 시설에서 이산화탄소를 물에 용해시키는 작업이 시작된다. 이산화탄소 1톤당 27톤의 물이 쓰이게 되고, 물에 녹은 이산화탄소는 탄산수 형태로 저장된다.
클라임웍스는 아이슬란드 스타트업 카브픽스(Carbfix)와 협업중이다. 카브픽스는 오르카가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탄산수 형태로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인근지역 1000m 지하 현무암 암반층에 주입하면 2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 암석으로 굳어진다는 것이다.
기존 CCUS 장치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탄산음료와 같은 상업용 제품에 사용되면서 도로 배출됐다. 또 석유회사들이 더 많은 석유를 파낼 명분을 얻기 위해 투자하는 일이기도 하다. 반면 오르카는 영구격리 저장방식이어서 탄소를 추가로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CCUS 기술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다만 전문가들은 비용을 문제삼았다. 오르카의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은 1톤당 1100달러(약 130만원) 규모다. 더욱이 파리기후변화협약의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150만~1500만톤의 탄소를 포집해야 한다는 분석을 보면 턱없이 적은 포집양이다. 2019년 기준 미국에서만 51억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미국 아메리칸대학교의 탄소제거 법률·정책연구소 데이비드 머로우 소장은 "DAC 기술이 빠른 시일 내에 충분히 저렴해지지는 못할 것"이라며 "어디까지나 보완적인 역할을 맡을 것이며 주력 탄소 제거 사업으로 발전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클라임웍스는 2030년까지 1톤당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을 200~300달러(약 23만~35만원)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