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의 비극'...일제가 한인 3600여명 학살한 '경신참변'

뉴스트리 / 기사승인 : 2022-01-15 08:14:01
  • -
  • +
  • 인쇄
[독립운동가 이야기] 대종교의 대한군정서 토벌 위해
일본내각이 승인...무차별적인 학살로 독립군 초토화
일제는 3・1독립투쟁으로 격앙된 간도지방의 독립투쟁 세력을 소멸시키기 위해 1920년 19사단과 20사단을 동원해 간도 한인사회를 초토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대한군정서'를 중심으로 한 항일무장 투쟁세력이 대승을 거뒀다. 이 싸움이 바로 대일전쟁사에서 최대의 승리로 기록된 '청산리대첩'이다. 그러자 일제는 간도의 한인세력을 초토화시키기 위해 민간인까지 학살하는 야만적 행위를 자행했다.

일제 19사단 중 기무라지대는 대종교를 신념으로 한 항일무장세력 '대한군정서'를 초토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이는 대한군정서가 일제에게 얼마나 위협적인 존재인지를 증명하는 것이다.

1920년 1월 22일자 '독립신문'에 게재된 '북간도의 독립운동'에 따르면, 국내 3・1독립투쟁에 이어 간도지방의 왕청현에서도 대종교 세력의 중심지 대감자에서 무려 2만3300여명이 3.1 독립투쟁에 참여했다.

이처럼 3・1독립투쟁으로 대일전쟁 분위기가 무르익는 가운데 일제는 독립군을 토벌할 계획으로 1920년 10월 2일 '혼춘사건'을 조작해 두만강을 건넜다. 1920년 10월 6일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는 우치다(內田) 외상에게 '간도출병'을 요청했고 일본내각은 이를 통과시켰다.

이후 10월 9일 육군대신의 명의로 조선군사령관에게 출병명령을 내렸고, 그해 일본군은 간도의 한인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했다. 이것이 바로 '경신참변' 사건이다. '경신참변'은 일제의 일부 세력이 저질른 것이 아니라, 당시 일본정부가 조직적으로 저지른 행위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일장기를 들고 부대로 들어가는 일본군 19사단 보병 75연대 병사들

'대한군정서'는 대종교 그 자체였다. 1913년 중광단, 1919년 자유공단・정의단, 1920년 대한군정서로 이어진 무장투쟁 단체는 대종교단의 지원으로 설립됐기 때문이다. 당시 일제의 기록에서도 이같은 내용을 찾을 수 있다. 1920년 10월 14일 기록된 일본 외교사료관 '鮮人ノ行動ニ關スル件'에 의하면 '군정서에 속하는 자 대부분은 대종교인'(不逞團關係雜件/ 朝鮮人ノ部/ 在西比利亞 第11卷)이라고 기술돼 있다. 

대한군정서의 성격은 다음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왕청현 내의 배일선인 일단인 정의단은 객년 10월경에 그 명칭을 대한군정부로 개칭하고 소왕청에 그 본부를 두고서 서일・김헌 등이 우이(牛耳)를 잡고 종교적 신념하에 각자가 단결해 강고한 것 같다"

이처럼 대한군정서는 대종교의 종교적 신념을 구체화하기 위한 조직체였음을 알 수 있다. 또 간도 독립투쟁세력 가운데 대한군정서의 위상이 어땠는지 1920년 1월 7일자 일본 외교사료관에는 아래와 같이 기술돼 있다.

"홍범도 일파의 독립군과 김좌진이 이끄는 군정서부대는 공동으로 활동을 하기에 이른 것 같다. 현재 무슨 무슨 단이라고 각각 명칭을 갖고 있으나 그 실은 일본군대의 간도출동 이후로 각단의 일치를 보기에 이르렀다. 전간도의 각 불령단 무력파는 실력이 있는 군정서의 지휘명령을 받기에 이르렀다. 홍범도 일파의 독립군은 별동대로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상과 같이 간도 각 불령단은 군정서에 의해 거의 명실공히 합동하게 된 것 같은 형세이다. 그 결과 종래 상해임시정부는 국민회 측을 통하여 간도방면에 연락을 취하고 있었으나 최근에 이르러 공문서의 왕복 기타의 연락은 직접 군정서와 하고 있으므로 상해임시정부 간도파견위원과의 사이에 협의를 내약(内約)하였다고 한다."

이같이 대한군정서는 임시정부가 인정하는 간도 민족투쟁세력의 대표적인 단체였다. 이는 대한군정서 총재이자 대종교 종사인 서일이 '청산리대첩'의 승전보를 직접 임시정부에 보고했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이 기록은 1921년 1월 18일자 독립신문 '大韓軍政署報告'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제도 벌벌 떨게 했던 간도 최고의 항일무장세력 '대한군정서'는 4050여명에 달했다. 이는 대한국민회 1930명, 대한의군부 1140여명, 대한북로독군부 740여명보다 훨씬 많았다. 당시 간도지역 14개 항일무장 단체의 숫자는 무려 9880여명에 이르렀다는 것은 일제의 기록 '民政府總務司調査課, 宗敎狀況, 在滿朝鮮人事情'에서도 확인됐다.

▲대종교의 대한군정서

'대한군정서'는 간도지역의 한인 항일무장단체 가운데 40%에 이르는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강력한 조직이다보니 일제는 대한군정서를 제거하기 위해 '경신참변'을 일으켰던 것이다. 간도지방 무장투쟁의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 '대한군정서'의 몰락은 곧 간도 한인무장세력의 소멸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일제는 대한군정서가 간도무장세력을 이끌 수 있었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진단했다.

"환인현 동창학교(東昌學校)를 교회로 삼고 그 생도는 물론 부근의 선인을 모아 동교의 포교와 더불어 배일사상을 고취한다고 한다. 사변 후에는 친만(親滿)으로 방침을 변경하여 양 민족의 융화에 힘쓰는 경향이 있어 왔다. 동교의 주지는 한민족의 선조는 백두산 기슭에서 나와 지나민족의 경우 그 지족(支族)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국권 회복에 노력하여 부여민족의 발전을 꾀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고 있다.
집회기일은 일정하지 않으나 집회자는 때로 400명에 달한다. 현재는 구도천(構道川) 방면에서 오로지 포교에 종사하고 있다고 한다. 시베리아와 만주지만에서는 그 어떠한 종파에 속했더라도 일반적으로 대종교를 신앙하는 자가 많다. 이는 대개 건국한지 오래됨을 자랑으로 여기는 민족적 자존심을 만족시키는데 적합한 사실(史實)이기 때문이다. 종래 조선인이 편찬한 교과서 기타 서적에 단군기(檀君紀)를 기술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일제는 반일성향의 간도지역을 완전히 초토화시켰다. 일제에 의해 살해당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대한군정서의 경신분국 역할을 담당했던 대종교도였다.

백암 박은식은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서 '경신참변'으로 북간도지역에서 피살된 한인의 숫자가 총 3664명이라고 기록했다. 그 중 왕청현의 피살자는 402명이라고 했다. 대한적십자를 통해 간도한인 구제금으로 1416원93전을 책정한 임시정부는 간도 한인 피살자를 3469명, 피체포자 171명, 부녀 강간 71명, 가옥파괴 3288채, 학교소실 41개소, 교회소실 16곳이라고 했다.(독립신문 1920년 12월 18일자)

당시 언론보도에도 '경신참변'의 참혹성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잘 드러나 있다. 독립신문은 1920년 12월 18일자에 '일제가 연길현 팔도구에서 유아 4명을 칼로 찔러죽이고 약수동에서는 피살된 한인의 시체를 불태워 강에 던져버렸으며, 화룡현 호리자자(狐狸子子)에서는 청년 4명을 생매장했고, 화룡현 마패(馬牌)에서는 교사와 학생을 살해하는 등 야만적 행위를 했다'고 기술돼 있다. 

또 길장일보 1920년 11월 10일~11일자에는 '연길현 춘양향(현 왕청현 하마당) 일대에서 일제가 한인 3명의 손바닥에 쇠못으로 구멍을 낸 후 쇠줄로 손과 코를 묶어 10여리를 끌고 다니다가 총살했다'고 써놨다. 캐나다 선교사 마팅의 견문기에서도 '서구등에서는 14명을 한 줄로 세워놓고 총살한 후 석유를 쳐서 불태웠다'며 당시의 잔혹한 실상을 전했다.

▲일본군 19사단 보병 75연대의 사진첩에서 발견된 경신참변당시 학살 사진

이같은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상해거주 한인들은 1920년 11월 29일에 '간도참상 구제회'를 조직해 경신참변의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 한인 구제에 진력했다. 우천 조완구가 대종교 대표로 참여했다. 미국의 '대한인국민회북미지방총회'도 경신참변을 미주한인들에게 전하며 구제활동을 적극 전개해 1200달러의 한인구제금을 간도로 보내기도 했다.

'경신참변'은 결코 일제가 충동적으로 벌인 사건이 아니다. 1909년 간도인구 30만명 가운데 조선인이 25만명이었고, 이 가운데 3만명이 독립투쟁세력이었다. 3만명의 독립투쟁세력은 25만명의 간도한인과 모두 직·간접적으로 관련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제 입장에서는 간도지역에 토벌해야 할 항일투쟁세력이 25만명이었던 것이고, 이에 민간인들까지 무차별 살해했다.

실제로 25만명의 간도한인의 사상적 중심은 단군을 모시는 대종교인들로 구성된 대한군정서였다. 일제의 주된 공격대상이 된 대한군정서의 독립투사들은 '경신참변'으로 대부분 죽임을 당했다. 일제의 대학살로 더이상 중국에 머물 수 없게 된 무장독립세력은 근거지를 옮길 수밖에 없었고, 여기에 자유시 참변과 대한독립군단 총재 서일(대종교 종사)의 자결로 간도지역 독립투쟁은 사실상 막을 내리게 된다.


 
  글/ 민인홍
    법무법인 세종 송무지원실 과장  
     대종교 총본사 전리, 청년회장
     민주평통 자문위원(종로구협의회)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