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용기' 내자 기업들 '플라스틱' 줄인다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06-05 13:00:04
  • -
  • +
  • 인쇄
[환경의 날: 지구를 지키는 작은 발걸음들]
한국형 풀뿌리 환경 운동 '용기내 챌린지'
▲김정숙 여사가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전통어시장에서 용기를 들고 장을 보는 모습.(사진=청와대 영상 캡처)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전보다 배달음식을 더 많이 시켜 먹는 B씨. 어느날 분리수거를 하면서 쌓여 있는 플라스틱 그릇들을 보고 "플라스틱과 거리를 둘 수는 없을까"라는 생각에 인터넷을 뒤져봤더니 '용기내 캠페인'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었다. "플라스틱을 쓰지 않는데 용기를 내라고?"라는 의문이 들어 내용을 찾아봤더니 그릇을 뜻하는 '용기'였다.


배달 대신 집에 있는 용기를 들고가 포장을 해 오고, 마트에 장을 보러 갈 때도 용기를 들고가 물품을 담아온다는 의미였다. 이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용기내 챌린지'라는 이름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B씨도 그날 이후 식사때가 되면 배달을 위해 모바일 앱을 여는 대신, 집에 있는 용기를 들고 식당으로 향하는 용기를 내고 있다.

지난 2019년 그린피스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마트의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에 관한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10명 중 7명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인 마트가 있다면 구매처를 변경하더라도 이용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소비자들이 편함보다는 환경을 더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다.

이런 트렌드를 반영한 운동이 최근 SNS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용기내 챌린지'다. 용기내 캠페인은 2020년 4월 그린피스와 배우 류준열이 '대형마트 플라스틱 없애기' 제안과 함께 #용기내 해시태그를 사용하면서 시작됐다. 하지만 이 캠페인에 영향력을 부여한 것은 일반 소비자들이다. 개인이 소소하게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인만큼 일회용 포장재를 줄여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용기내 챌린지'라며 지구도 지키면서 즐기고 있다.

이같은 소비자들의 '용기내는 용기'는 기업들의 움직임도 이끌어 내고 있다. 롯데마트 수도권 매장들은 지난해 7월 반찬 코너로 용기를 가지고 오면 20%를 더 주는 '1일 1그린 용기내 캠페인'을 진행했다. 앞서 롯데마트는 2025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50& 감축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마트 역시 일부 매장에 세탁세제와 섬유유연제 등을 리필할 수 있는 '에코 리필 스테이션'을 설치했다. 이마트 자양점에는 최근 아모레퍼시픽 제품들을 리필해서 쓸 수 있는 '리필 스테이션'도 생겼다. 이마트는 리필 스테이션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 충북농협 등 금융권에서도 임직원과 고객들을 대상으로 개인 텀블러나 용기 등을 사용하는 인증샷을 올리면 친환경 제품을 증정하거나 시상하는 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유명인사들도 용기내 캠페인에 동참하면서 힘을 더 실어주고 있다. 지난 2월 배우 류승룡과 박진희가 동참, 유튜브 채널과 인스타그램 게시글을 통해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같은달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도 힘을 보탰다. 대통령과 영부인은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전통어시장에서 용기를 들고 장을 봤다. 문 대통령은 최근 열린 P4G 서울 행사에서 '용기내 캠페인'을 소개, 한국의 '풀뿌리 환경 보호 운동'을 세계에 알리기도 했다.

최근 대만의 편의점 1위 세븐일레븐은 2050년까지 매장 내 플라스틱 포장재를 없애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세븐일레븐의 자체 결정이 아닌 소비자들이 기업을 바꾼 사례로 꼽힌다. 그린피스가 2019년부터 '세븐일레븐을 포함한 대만 내 모든 편의점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캠페인을 진행했고, 21만명의 대만 사람들이 참가했다. 그러자 세븐일레븐이 이에 응답한 것이다.

'세상에 무해한 사람이 되고 싶어'의 저자이자 제로웨이스트 실천으로 유명한 허유정 작가는 그린피스코리아 홈페이지에 자신의 '용기내 챌린지' 도전기를 올리며 아래와 같이 말한다.

"전문가들도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없고, 무엇보다 법과 기업이 바뀌어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기업과 정부가 변하려면 우선 소비자의 '관심'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저도 첫 시작은 텀블러를 챙기는 작은 일이었고 점점 다른 실천이 늘어나며 최근에는 그린피스 캠페인, 환경 정책 입법에도 조금씩 의견을 표현하고 있습니다"며 "관심이 생겨야 요구할 게 보이고, 함께 요구하다 보면 변화가 올 거라 믿기 때문이죠. 하지만 여전히 변화는 부족합니다. 때로는 한 명의 100걸음보다 100명의 한 걸음이 더 큰 힘을 지닐 때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외식 계획이 있다면 용기를 내서 '용기'를 꺼내보면 어떨까요? 일단 시작만 한다면 일상'이 되는 건 꽤나 쉬울 겁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자사주 없애기 시작한 LG...8개 상장사 "기업가치 높이겠다"

LG그룹 8개 계열사가 자사주 소각, 추가 주주환원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계획을 28일 일제히 발표했다. 이날 LG그룹은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

쿠팡, 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확대 나선다

쿠팡이 중증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을 확대한다.쿠팡은 한국장애인개발원,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과 중증장애인 e스포츠 직무모델 개발과 고용 활성

[ESG;스코어] 공공기관 온실가스 감축실적 1위는 'HUG'...꼴찌는 어디?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보령시시설관리공단·목포해양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IBS)

LG전자 신임 CEO에 류재철 사장...가전R&D서 잔뼈 굵은 경영자

LG전자 조주완 최고경영자(CEO)가 용퇴하고 신임 CEO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이 선임됐다.LG전자는 2026년 임원인사에서 생활가전 글로벌 1위를 이끈

네이버 인수 하루만에...두나무 업비트 '445억' 해킹사고

네이버가 두나무 인수결정을 한지 하루만에 두나무가 운영하는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에서 445억원 규모의 해킹사고가 터졌다.업비트는 27일 오전 두

기후/환경

+

'쓰레기 시멘트' 논란 18년만에...정부, 시멘트 안전성 조사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폐기물이 활용됨에 따라, 정부가 소비자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시멘트 안전성 조사에 착수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환경단체,

해변 미세플라스틱 농도 태풍 후 40배 늘었다...원인은?

폭염이나 홍수같은 기후재난이 미세플라스틱을 더 퍼트리면서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7일(현지시간) 프랭크 켈리 영국 임페리얼 칼리

잠기고 무너지고...인니 수마트라 홍수와 산사태로 '아비규환'

몬순에 접어든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들이 홍수와 산사태로 역대급 피해가 발생했다.28일(현지시간) 가디언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수마트라섬에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주말날씨] 11월 마지막날 '온화'...12월 되면 '기온 뚝'

11월의 마지막 주말 날씨는 비교적 온화하겠다. 일부 지역에는 비나 서리가 내려 새벽 빙판이나 살얼음을 조심해야겠다.오는 29∼30일에는 우리나라에

[ESG;스코어] 공공기관 온실가스 감축실적 1위는 'HUG'...꼴찌는 어디?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보령시시설관리공단·목포해양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IBS)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