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모더나 백신 mRNA 서열, 소스코드 공유사이트에 떴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3-31 17:03:34
  • -
  • +
  • 인쇄
스탠포드大 앤드루 파이어 교수 등 분석
"서열 정보공개로 경제·교육적효과 기대"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연구자들이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의 mRNA 서열을 오픈소스 코드저장소 '깃허브'(GitHub)에 게재했다.

30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스탠포드대학교 연구자들이 mRNA 백신인 모더나 백신과 화이자 백신의 mRNA 서열을 추출하는 데 성공, 이를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소스코드를 공유하기 위해 활발히 이용하는 웹사이트 깃허브에 올렸다.

mRNA 백신은 유전자 정보를 전달해 인체가 '바이러스 단백질'을 만들도록 유도한다. 바이러스 단백질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기 위한 '스파이크 단백질'을 본떠 형성되는 무해한 단백질이다. 체내에 바이러스 단백질이 형성되면 면역체계가 반응하면서 바이러스 단백질에 대응하기 시작한다. 바이러스 단백질은 금방 분해되지만 이때 생긴 항체는 그대로 남아 실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침투했을 때 대응할 수 있다. 일종의 '실탄연습'인 셈이다.

유전공학 백신인 mRNA 백신은 사백신이나 생백신처럼 바이러스 자체를 직접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감염 우려가 전혀 없다. 또 실험실 조건 하에 단백질을 직접 만들어야 했던 이전 세대의 백신들과 달리 mRNA 서열이 '소스코드'처럼 작용해 신속하고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다.

▲모더나 백신 mRNA 서열 코드 (출처=깃허브)


mRNA 서열을 공개한 연구자 앤드루 파이어와 마사 쇼우라는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루어짐에도 누구나 RNA 서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며 "서열 정보를 누구에게나 접근 가능하게 만들면 상당한 경제적·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mRNA 서열이 공개된다 해서 당장 집에서 백신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백신의 중요도에 비해 아직 대중이 백신 자체와 백신 관련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고 평가했다. 최근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의원들로부터 '백신 민족주의'를 경계하고, 금전적 이익이 백신접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특허권 보호를 정지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

파이어와 쇼우라는 자신들이 공개한 mRNA 서열이 접종 후 남은 빈병의 백신 '찌꺼기'를 사용해 도출한 결과임을 강조하며 사용 가능한 백신을 낭비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선을 그었다. 그들은 "어제저녁 다 마신 우유 한 갑에도 얇은 우유 코팅이 남아있다"며, "우리가 그 서열을 분석하면 소의 전체적인 유전자 정보를 알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기후/환경

+

[ESG;스코어] 韓 해운사 탄소효율…벌크선사 팬오션이 '꼴찌'

팬오션, 현대글로비스가 우리나라 해운사 가운데 '탄소집약도지수'(CII)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대LNG와 코리아LNG, KSS해운은 CII 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