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0일~21일 브라질 베렘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내용은 무엇일까.
올해 회의의 핵심 아젠다는 △감축 이행 가속화 △기후정의와 보상 △에너지 전환과 산림보호 △기후금융 확대 등이다. 주최국 브라질은 이번 회의를 "약속이 아니라 실행의 COP"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하며, 기존 감축 목표를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를 추진하고 있다.
각 국은 COP30을 앞두고 강화된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을 제출할 것을 압박받고 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각국이 파리기후변화협약 1.5 °C 목표 달성 궤도에 오르기 위해선 2035년까지 현 감축 목표를 최소 2배 이상 강화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지속가능한 바이오연료, 전기차·저탄소 산업전환 등도 COP30에서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이번 회의의 또다른 축은 '기후정의(Climate Justice)'다. 브라질과 남반구 국가들은 "역사적 배출 책임이 큰 선진국들이 더 많은 재정·기술 지원을 해야 한다"며 '기후 손실·피해보상 기금'의 실질적 집행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최근 240여개 환경·인권단체는 COP30이 식민주의·노예제 등 역사적 불평등의 책임과 기후정의의 연결을 공식 의제로 삼아야 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개최지 베렘은 아마존 강 하류에 위치한 대표적 열대우림 도시로, 회의 장소의 상징성도 크다. 그러나 인프라와 숙박 여건이 부족해 수천명의 대표단이 숙소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브라질 정부가 저소득국 대표단을 위한 무료 크루즈 숙박을 제안하는 등 우여곡절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브라질 당국이 아마존 인근 유전 개발허가를 발표해 '기후회의를 열면서 석유를 판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COP30을 "기후거버넌스의 분기점"으로 본다.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재출범 이후 화석연료 산업을 강화하고 있고, 반대로 중국은 "책임있는 기후행동의 성인국(grown-up nation)"을 자처하며 리더십을 강화하는 중이다. 국제사회는 이번 회의를 통해 새로운 협력축이 형성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COP30은 단순한 감축 수치 경쟁이 아니라, 기후위기 시대에 정치적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