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처럼 움직이는 '휴머노이드'...어떻게 훈련시킬까?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6-30 08:30:02
  • -
  • +
  • 인쇄
[AI 휴머노이드, 어디까지 왔나 ②]
▲사람의 동작을 따라하는 로봇

팔을 뻗어 컵을 들고, 무릎을 살짝 굽혀 바닥의 리모컨을 줍는 동작을 우리는 매일 반복하지만, 로봇에게는 절대 간단한 일이 아니다. 걷고, 물건을 집고, 움직이는 모든 동작에는 수십 개의 관절, 수백 개의 신경신호가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로봇은 이 동작을 어떻게 배우는 것일까?

가장 원시적인 방식은 로봇이 사람의 동작을 따라하게 하는 것이다. 우선 인간이 시범을 보인다. 사람 한 명이 특수제작된 수트를 입고 로봇 앞에서 반복해서 팔을 흔들고, 허리를 돌리고, 상자 하나를 옮기면, 움직임 하나하나가 모션캡처(Motion Capture) 기술로 기록된다. 마치 배우의 연기를 캡처해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입히는 것처럼, 사람의 몸이 로봇의 교과서가 되는 셈이다.

중국의 로봇기업 휴머노이드로봇상하이(Humanoid Robot Shanghai)는 고정밀 관성 모션캡처 수트를 이용해 로봇에게 정밀한 손놀림과 균형잡힌 걷는 법을 가르친다. 사람처럼 섬세하게 움직이는 로봇의 비결은 결국 '정확한 데이터’에 있다는 것이다.

▲UC샌디에이고 연구진이 개발한 동작추적모델 장착 로봇 (자료=Zixuan Chen)

물론 단순히 흉내만 내서는 한계가 있다. 로봇이 사람처럼 다양한 동작을 자유롭게 하려면, 하나의 두뇌로 수많은 동작을 조합할 수 있어야 한다. 미국 UC샌디에이고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6월 동작추적모델(GMT, General Motion Tracking)을 개발했다. 수천 개의 인간 동작 데이터를 학습시켜, 걷기·발차기·쪼그려 앉기·춤 등 다양한 동작을 하나의 알고리즘이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GMT는 기존 휴머노이드에게 적용됐던 기술들과 다르게 동작별로 여러 '전문가 알고리즘'을 배치해놓고, 상황에 맞춰 누가 가장 잘할지를 고르게 한다. 마치 운동선수에게 부족한 동작만 반복 훈련시키는 것처럼, 어려운 동작일수록 집중적으로 반복 학습시켜 더 잘하게 만든다.

미리 학습을 시켜놓는 방식을 넘어, 실시간으로 사람의 동작을 따라하도록 하는 '텔레오퍼레이션(Teleoperation)' 방식도 개발됐다.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와 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진은 사람이 움직이는 대로 로봇이 동시에 따라 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팔뿐 아니라 무릎, 허리, 발까지 전신을 동작을 그대로 복제한다.

▲사람의 동작을 실시간 따라하는 '텔레오퍼레이션' 휴머노이드(자료=GE)

연구팀은 "복잡한 주방에서 사람은 손과 발, 팔꿈치까지 써서 물건을 옮기기에, 우리는 로봇도 그렇게 하길 원한다"고 말한다. 개발한 트위스트(TWIST)라는 시스템은 실제 사람이 몸을 쓰는 방식 그대로 로봇에게 전달해, 현장에서 유연하게 움직이는 휴머노이드를 실현한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간 시도가 있다. 사람의 '의도'까지 미리 읽어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앉은 사람이 막 일어나려는 순간 로봇이 먼저 자세를 바꿔 받쳐주는 식이다. 사우디아라비아 킹사우드대학교 연구팀은 근육(EMG)이나 뇌파(EEG) 신호를 분석해, 사람의 다음 행동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재활 로봇이나 낙상방지 시스템, 노인 보조기기 등에 특히 유용하다. 사람의 움직임을 흉내내는 단계를 넘어, 행동을 '예측'하고 미리 대응하는 것이다. 움직임을 보고 배우는 것에서, 신호를 감지해 먼저 움직이는 단계로 진화한 셈이다.

이처럼 '사람처럼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 업계에서는 모션캡처, 실시간 조종, 생체신호 분석, 인공지능(AI) 학습 등 수많은 기술을 총동원하고 있다. 결국 로봇에게 필요한 것은 팔이나 다리만이 아니라, 움직임을 해석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뇌라는 점도 시사한다.

아직 로봇은 춤을 출 때 어딘가 어색하고, 걸음걸이도 불완전하다. 하지만 이미 그들은 인간을 따라 배우고 있다. 사람의 데이터를 먹고, 동작을 흉내내고, 예측까지 하는 로봇들. 그렇게 로봇은 점점 무섭게 빠른 속도로 인간화되어가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기후/환경

+

[날씨]"마스크 챙기세요"...전국 비·눈에 미세먼지까지 '나쁨'

25일 미세먼지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호남권의 대기질이 나쁘겠다.현재 국외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며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 호남은 미세먼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